15代 국회의원 재산등록 현황 與野 가릴것없이 투기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5대에 처음 재산등록신고를 한 1백84명의 선량들도 땅부자.집부자가 수두룩하다.여야를 가릴 것 없다.이중 상당수가 투기지역으로 의심받는 경기도와 전북.충청도.제주도 일대의 땅을 무더기로 소유하고 있다.그러나 의원들은 한결같이 『 투기목적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신한국당 이국헌(李國憲.고양덕양)의원은 전국 17곳에 8억8천만원 상당의 대지와 임야,논.밭을 갖고 있다.경기도평택시세교동에 1억7천8백만원 상당의 임야를 비롯해 경기도에만 5필지,전북부안군변산면에 4필지,충북제원군덕산면등에 2필 지,경북봉화군등에 2필지,남제주군표선면등에 3필지다.
그는 또 전체신고재산이 14억원인데 채무가 19억원이라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李의원은 이에 대해 『변호사를 개업한 82년부터 여유돈으로 별 생각없이 땅을 샀지만 투기목적은 아니었다』며 『현재 채무를 갚기 위해 땅을 전부 내놓은 상 태』라고 말했다. 지역구가 김제인 국민회의 장성원(張誠源.김제)의원은 서울에 자신과 부인명의의 집이 4채다.서울의 노른자위라는 강남구대치동.압구정동.신사동과 용산구이태원동에 아파트 3채,단독주택1채다.구입시기는 강남개발붐이 일던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중반까지.張의원은 『투기목적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상공부.재무부관료 출신인 자민련 김선길(金善吉.충주)의원은 경기도양평군양서면대심리 일대에 5억3천만원대의 임야와 논밭 6필지를 갖고 있다.金의원측은 『83년께 채무자로부터 빌려준 돈대신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국당 유용태(柳容泰.동작을)의원은 경기도남양주시화도읍구암리에 7억7천만원 상당의 임야와 대지,논을 갖고 있다.柳의원은『내가 설립한 산업훈련연수원 주변 땅들인데 연수원이 아닌 개인소유로 돼 있어야 나중에 건물짓기가 편해 갖고 있는 것』이라고말했다. 경기도광주군실촌면에 2억7천만원 상당의 임야와 논을 갖고있는 국민회의 이동원(李東元.전국구)의원도 『그 땅 주변에대학을 지었는데 여기에 부속건물을 짓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여성유권자연맹의 대모격인 국민회의 신낙균(申樂均.전국구)의원은 경기도남양주시화도읍과 가평군,전남고흥군봉래면과 여천군의 14억원 상당의 논.밭과 임야 21필지를 신고했다.申의원은 『대지주였던 부모님이 매입에 도움을 준 것이고 일부는 외국에 나가 있는 친구의 땅을 대신 맡고 있는 것』이라고 해명.
변호사 출신인 신한국당 안상수(安商守.과천-의왕)의원은 서울강남구삼성동에 7억원짜리 근린시설과 충남논산.인천시중구중산동.
강원도화천.전남진도에 1억6천만원 상당의 임야와 논을 갖고 있다.安의원은 『변호사를 하면서 80년대말부터 구입 한 것』이라며 『너무 급작스럽게 정치를 하게 돼 정리를 못하는 바람에 구설수에 오르게 됐다』고 말했다.
자민련 변웅전(邊雄田.서산-태안)의원은 경기도광주군경안리에 1억4천만원상당의 밭 2필지와 충남아산 일대에 9필지,5억원 상당의 논밭이 있는데 전부 부인명의다.
땅등 부동산이 많다고 무조건 의혹을 보내서는 안되지만 부동산매입시기와 매입자금에 대한 소명(疏明)을 국회의원들이라면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공직자에게도 건전한 경제활동은 마땅히 보장돼야 하며 이에는 의원들도 예외가 아니지만 국가 중요정책을 다루고 무수한 이권과맞부닥치는 국회의원들이 투기행위자로 의심받거나 재산형성 과정이불분명한 것은 문제라는 얘기다.
따라서 공직자재산등록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등록재산과 그 형성과정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뒤따라야 한다는 여론이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