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테러지원국서 빠지려면 핵 확산, 테러 지원도 포기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외교·안보 관련 핵심 브레인인 코리 샤키(사진) 선임보좌관은 3일 “북한이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되려면 영변 핵시설을 더 해체하고, 테러활동을 지원하지 않으며, 핵확산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화당 전당대회장인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엑셀에너지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는 영변 핵시설 폐기 이상의 것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장 출신인 샤키 보좌관은 “6자회담에서 이뤄진 최근의 합의는 북한의 핵무기와 핵확산,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을 다루지 않고 있다”며 “매케인은 영변 핵시설을 폐기하기로 한 합의를 매우 작은 조치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매케인의 대북정책이 조지 W 부시 대통령 행정부와 다른 점은 뭔가”라는 질문에 대해선 “매케인이 북핵 문제에 대한 합의를 지지하려면 그것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6자회담은 아직 실행 가능한 방안이긴 하지만 가야 할 길이 멀다”고 했다. 또 “6자회담 틀 내에서 이뤄진 어떤 합의도 한국과 일본에 우려를 남겨서는 안 된다. 두 나라의 안보 문제도 소홀히 다루지 않는다는 걸 느끼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화당 소속 크리스토퍼 본드 상원의원과 피트 헉스트라 하원의원도 전당대회장에서 간담회를 열었다. 하원 정보위 소속 헉스트라 의원은 “매케인이 대통령이 되면 미국이 북한과 직접 협상하는 것에 대해선 매우 신중한 태도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케인은 가장 효과적인 대북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일본 등 동맹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영변 핵시설 복원 착수에 대해 “뒷걸음질 치는 것”이라며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빼는 것은 큰 실수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한파로 알려진 본드 의원은 “영변 핵시설 복원 착수를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나는 김정일에 대해 큰 기대를 걸지 않았다”며 “이번 사태를 통해 알 수 있는 북핵 프로그램은 철저하게 사찰해 폐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매케인은 자유무역을 적극 지지하며 나도 같은 입장”이라며 “민주당이 자유무역협정(FTA)을 반대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주장하고 있는 걸 우려한다”고 말했다. 본드 의원은 한국의 미국 무기구매(FMS) 지위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와 일본·호주 수준으로 격상하는 법안을 제출한 바 있다.

세인트폴=이상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