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달려간 정치권 ‘두 마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27일 낮 서울시청 앞을 가득 메운 범불교도대회에 한나라당 최병국·주호영 의원이 모습을 드러냈다. 최 의원은 불자 의원 모임인 국회 정각회 회장이고, 주 의원은 이름난 불교통이다. 두 사람의 얼굴엔 수심이 어렸다.

실제 불교계의 이반을 바라보는 여권의 심리가 그랬다.

박희태 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 “다시는 종교 편향적인 일이 안 일어나게 하겠다”며 “당장 정기국회에서 (종교 관련) 법을 고쳐 불자들이 안심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4선의 정의화 의원도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불심 달래기를 위해 당에서도 진지한 자세로 최선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여권은 이번 범불교도대회를 앞두고 불심 달래기에 총력전을 펼쳤다. 이명박 대통령은 여러 차례 “공직자의 종교 편향은 안 된다”는 취지로 말했다. 한승수 국무총리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유감을 표명했다.

청와대 불교신자 모임인 청불회의 회장인 강윤구 사회정책수석은 주요 사찰을 돌았다. 종무 담당인 신재민 문화부 차관도 계속 불교계 큰스님들을 만났고 이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의원도 팔을 걷어붙인 상태다.

하지만 성난 불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데 여권의 고민이 있다. 정부 정보망에서 사찰 정보가 빠지는 등 불교계를 자극할 만한 일들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불교계의 요구를 다 들어줄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 대통령의 사과나 어청수 경찰청장의 파면 요구, 조계사 내 수배자 면책 등은 선을 넘은 요구라는 게 여권의 인식이다.

일각에선 “불교계의 권력 갈등 와중에, 또는 현 정권에 대한 불만 세력에 의해 갈등이 증폭되는 측면이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여권에선 그래서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오해를 푸는 수밖에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 불교 관련 예산을 늘리고 정책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로 민주당은 여권과 불교계의 벌어진 틈새를 파고들고 있다. 원혜영 원내대표와 김상희·박선숙 의원 등이 직접 대회에 참석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명박 정부가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며 “불교계가 어 청장의 파면을 요구하는데도 정부는 (어 청장의 사과라는) 고식적인 언론플레이로만 무마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원 원내대표는 전날 당의 불자 의원들과 만나 불교계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고정애 기자

[J-HOT]

▶ 잘나가던 현대차 인도공장에 무슨 일이…

▶ 간첩 원정화 "性에 대한 개방성 높이 사 공작원 발탁"

▶ 간첩인줄 알고도 신고안한 중위 "사랑했다"

▶ LPGA 한국 선수 절반 퇴출 위기…박세리 "왜 우리만" 따져

▶ '자출족' 직장까지 20㎞ 50분, 출퇴근 차보다 빨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