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때 직업 목표 세워, 진로 맞는 대학 학과 선택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73호 22면

최근 청년층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직업군은 금융회사를 포함한 민간 대기업·공공기관의 직원이나 공무원이다. 비교적 안정된 고용과 고소득, 그리고 기업복지가 잘 되어 있는 괜찮은 일자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자리들은 많지 않다. 한정된 일자리에 들어가기 위해 대졸자들은 험난한 경쟁을 거쳐야 한다. ‘나쁜 일자리’는 현재도, 미래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직·간접적인 경험들을 통해 체감한 이들은 괜찮은 일자리를 얻을 때까지 취업 재수생으로 남으려고 한다.

취업 준비생 60만 명 시대에 부쳐

오랜 기간을 준비해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 대졸자는 연령 제한, 군 입대, 결혼, 시험제도 변화 등의 원인으로 중도 탈락하게 된다.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면서 개인 경쟁력 약화, 취업 시스템 및 채용시장 변화 등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내가 아는 P양은 소위 말하는 장기 취업 준비자다. 대학을 졸업한 지 32개월이 지난 지금, 그녀는 노량진에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 국립대학에서 사회계열을 전공한 그녀는 지금까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것 이외에 어떠한 취업 노력도 해 본 적이 없다. 물론 대학을 다니면서 워드프로세서, 인터넷 정보검색, 정보처리산업기사 등의 자격을 땄지만 그것을 이용해 취업을 하려고 한 적은 없었다.

대학 3학년 때부터 줄곧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그녀는 벌써 4년6개월을 같은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졸업 후 초기에는 모교 도서관과 인터넷 강의 등을 이용해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지만, 지금은 아예 서울에 있는 고시학원에 다니며 독립해서 생활하고 있다. 그녀는 현재 학원비를 포함해 약 100만원의 한 달 생활비를 부모님께 의지하고 있다. 그녀의 목표는 오직 하나,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여 안정적인 일자리를 보장받는 것이다.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청년층에서 P양과 같은 취업 준비자는 현재 60만 명 정도다.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생산가능인구가 약 1000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청년층에서 20명 중 1명은 취업 준비 상태인 것이다. 취업 준비자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실업률 지표를 사용하면 국내의 청년 취업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청년 실업률은 최근 몇 년간 7%에서 8.5% 사이로 거의 비슷한 수준이거나 약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수치 자체도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고용률 지표를 사용하게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지표인데, 2004년 청년 고용률은 45.1%였지만 2007년에는 42.6%로 매년 감소하고 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54%보다 많이 낮다. 결국 청년 실업 문제라는 표현보다는 청년 고용 문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겠다.

P양의 경우, 공무원 신규 채용 축소와 더불어 일부 지방공무원 시험의 동시 시행으로 응시 기회가 줄어들어 일반 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것도 쉽지 않다. 새 정부 들어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대한 약속이 여러 가지 악조건 상황에서 당분간 지켜지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06 대졸자 직업 이동 경로 조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졸업 후 약 18개월이 지난 시점에 대졸자 10명 중 9명은 취업 경험이 있었다. 경험자 10명 중 5명만이 대학 졸업 전에 취업 목표가 있었으며, 취업 목표가 있었던 5명 중 2명만이 자기 목표를 달성했다고 응답했다. 고교 졸업자의 십중팔구가 대학에 진학하는 최근 국내 상황에서 취업 목표는 명확하게 세우고 준비는 빨리 시작해야 한다.

그에 맞는 실력과 자격도 미리 갖춰야 할 것이다. 대학 입학 과정에서도 성적에 맞춰 진학하기보다는 자신의 목표에 맞는 학교와 학과를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서 중·고교 시절에 자신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목표를 미리 세운다면 좋을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취업정보’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등을 이용하면 학과 및 직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