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 주민 10명 중 1명 외국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서울 영등포구에는 40만8186명의 주민이 산다(올 5월 현재). 이 가운데 3만9793명이 조선족·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이다. 주민 열 명 중 한 명꼴로 전국 232개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다. 인근 구로구의 외국인 수도 2만8818명, 금천구는 1만9342명이다. 전체 지역 구민 수의 7~8% 수준이다. 영등포·구로·금천구 세 곳이 ‘외국인 삼각벨트’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옛 구로공단이나 영등포 인근 공장에서 일했던 외국인과 가족들이 삶의 터로 잡았거나 새로 한국에 온 이들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29일 국내 거주 외국인 수는 모두 89만1341명으로 전체 인구의 1.8%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지난해보다 16만8000여 명(23%)이 늘어났다. 90일 이상 장기 체류 외국인 근로자가 43만7727명(49.1%)으로 가장 많았다. 국제결혼 이주자 14만4385명, 국제결혼가정 자녀 5만8007명, 유학생 5만6279명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외국인 중 혼인 등을 통해 한국 국적을 얻은 이들은 7.4%로 파악됐다. 행안부 자치행정과 강정옥 사무관은 “3개월 이내 체류자는 조사대상에서 제외돼 실제 외국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에서는 관악·용산·광진·동작·성동·서대문 등 6개 구에도 1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사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에서는 안산시에 3만6387명의 외국인이 살아 영등포구에 이어 전국 2위에 올랐다. 수원·화성시는 2만5000명 안팎이었고, 성남·시흥·부천시를 비롯한 여섯 곳이 1만 명을 넘었다. 인천은 서구와 남동구에 1만1000~1만3000명이 거주했다. 전체 외국인 가운데 66%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이다.

반면 대구 수성구와 전북 전주시 등 5곳은 외국인 비율이 전체 주민의 0.5%도 안 됐다.

외국인이 가정 적은 곳은 경북 울릉군(58명)이었다. 행안부 강 사무관은 “외국인들이 직장을 얻기 쉽고 생활이 편리한 수도권에 몰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이 급증하자 행안부는 전국 자치단체에 외국인 지원 전담 창구를 만들고, 지원 프로그램을 갖추도록 요청했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