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D-60 쟁점.전략-逆官權.비자금.안정론에 사활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총선이 6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안정론,대선자금 공개공방,관권선거등 쟁점들의 윤곽이 서서히 구체화하고 있다.이들 쟁점 이면에는 물론 각당의 이해와 향후 전략이 깔려 있다.여(與)는 여대로,야(野)는 야대로 자신에게 유리한 쟁점은 부각시키고 불리한 쟁점은 축소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신한국당은 안정의석론.역(逆)관권선거론.세대교체론등을 이번 선거에서 집중 부각시켜 승기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안정의석론은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전당대회에서 「안정없는 개혁은 혼란」이라고 강조한 후 신한국당의 최대 무기로 등장했다.김윤환(金潤煥)대표는 이를 받아 『지속적 개혁은 정국이 안정돼야만 가능하며 정국안정은 여당의 과반의석이 필수 조건이다』는3단 논법을 개발했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야당 단체장들을 대상으로 역관권선거론을 내놓고 있다.야당단체장들이 과거 여권 단체장보다 더 심하게 선거에 개입한다는 것이다.『구박받던 며느리가 시어머니 되면 며느리를 더 구박한다』는 논리다.
비장의 카드는 세대교체론이다.야당의 두 총재가 총선유세에서 대권 바람몰이를 시도할 경우 역공수단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신한국당이 내심 기피하는게 金대통령의 대선자금 공개공방이다.
이회창(李會昌)전총리.박찬종(朴燦鍾)전의원도 金대통령과 면담에서 이의 조기 공개를 요구했을 정도다.
김대중(金大中)총재의 「20억원+α설」,김종필(金鍾泌)총재의「1백억원대 비자금설」등을 부각시켜 맞불을 놓는다는 작전이다.
야당 대표의 도덕성 문제를 제기,국면을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국민회의등 야권은 대선자금 공방을 숨은 승부수로 보고 있다.
『아무래도 여당 후보였던 金대통령이 더 받았을 것』이란 감성적인식을 확대시켜 나갈 방침이다.국민회의는 후보들에게 유세마다 이를 중점 강조하도록 지시해놓고 있다.현 정부와 갈등관계인 노태우(盧泰愚).전두환(全斗煥)씨가 재판과정에서 새로운 사실을 밝힐 것도 기대하고 있다.
여당의 「역관권선거」공세에는 『중앙정부가 공권력을 남용하는 것이야말로 관권선거』라고 맞받아치고 있다.반상균(潘尙均)금천구청장.김현욱(金顯煜)전의원등의 사법처리를 들어 『여권이 신(新)공안정국을 조성하려 한다』고 반격하고 있다.「장 관들의 잇따른 지방 나들이가 진짜 관권선거」라고 공격하는 것도 빼놓지 않는다. 안정의석론에 대해서도 金대통령 정부의 독주,정책혼선등이모두 여대(與大)때문이라고 몰아세운다.국민회의는 자신들이 1백석 이상 확보해야 내각제 개헌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고정 지지표의 투표참여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
국민회의와 민주당은 특히 현 정부 출범 이후의 급격한 경기하락이 대기업 위주 경제정책과 금융실명제의 후유증이라며 민생안정을 외치고 있다.자영업자.중소 상공인의 지지를 돌리려는 시도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