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大權논의 백지화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총선기간중 득표전략의 일환으로 대권논의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여권은 이를 백지화한 것으로 전해졌다.최근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일부 참모들이 이를 강력히 건의했으나 金대통령은 이를 일축했다고 한다.
金대통령의 불허의지가 완강해 대통령직 도전의사를 지나치게 공개적으로 강조하는 중진이 있을 경우 불이익을 받게될 것같다.이는 선거대책위 구성을 비롯한 신한국당의 선거전 수행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여권의 허용방침은 선거법때문이었다.현행 선거법에는 대통령이 지원유세를 할수 없게 돼있다.그결과 신한국당 총재인 金대통령은 입이 묶인 반면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와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는 전국을 누비며 후보들을 도울 수 있게 됐다. 이같은 차이는 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그래서 여권은 일부 중진들의 대권논의를 허용,이들이 「대권예비후보」자격으로 이들의 영향력이 미치는 지역에서 당후보들을 도울 수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것이다.이같은 계획에는 미래에 대한비전을 제시해야 표가 온다는 선거전략의 기본원칙도 감안됐다.
이같은 측면에도 불구하고 金대통령이 대권논의에 물꼬를 터주지않기로 한 것은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본 때문인 것같다.여권에득(得)보다 실(失)이 많다고 판단한 것이다.무엇보다 여권 내부가 통솔이 불가능해지고 단합이 깨질 경우 효 율적인 선거전략집행이 어렵게 된다고 보았을 것이다.가뜩이나 야당에 비해 여당의 결집력이 약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상대적으로 신한국당에 대한 지지율이 낮은 지역에서 대권예비후보가 金대통령을비판하고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게 사실이다.
또한 선거후도 의식했다고 여겨진다.목전의 상황에 집착해 대권보따리를 풀어놓았다가는 총선후에는 걷잡을 수 없게 된다는 우려를 했을 수도 있는 것이다.이럴 경우 金대통령의 후반임기 운영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다.대통령의 「마지막 권한」 인 후계자 지명권도 크게 훼손당할 수밖에 없다.그래서 金대통령은 이번 총선을 자신의 얼굴로 치르겠다고 결심한 것같다.
金대통령의 판단이 이같은 만큼 중진들의 운신폭은 좁아지게 됐다.金대통령은 『대권얘기를 하는 사람은 그때문에 손해를 보게될것』이라고 경고한바 있다.동시에 어느정도의 내부진통도 불가피할것같다.중진들의 입장에선 선거승리를 위해 자신 의 가능성을 보여야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선거기간 내내 金대통령의 통제선(線)을 아슬아슬하게 넘나드는 대권 발언들이 꼬리를 물 전망이다.
이에 대해서는 청와대도 적극 저지하기가 쉽지 않고 이를 청와대도 알고 있을 것이다.그런 점에서 金대통령의 불허방침을 신축적으로,즉 대통령 자신이 직접 나서 대권논의를 증폭시키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하겠다.
김교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