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열린마당

아동범죄, 지역사회 안전망으로 막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올 들어 초등생 대상 유괴 사건과 성폭행 미수 사건 등 아동·청소년을 노린 강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어린 자녀의 안전을 위해 부모들이 사설 경비업체에 문의하거나 방범 봉사활동에 나설 정도다.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가 증가하는 원인 중에는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이 부족한 것도 포함될 것이다. 다시 말해 맞벌이 부부 증가와 사교육 비중 증대로 인해 아동·청소년이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범죄에 노출될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아동·청소년은 하루 평균 7~8시간을 사교육에 쏟는다. 그리고 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30대와 4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각각 56.3%, 65.8%다. 맞벌이 부부와 가구주의 40.9%가 주당 평균 54시간 일한다.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는 사회 문제다. 따라서 온 국민과 정부가 함께 아동·청소년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5월 개정된 아동복지법은 아동보호구역 폐쇄회로(CC)TV 설치 확대, 아동 안전지킴이 택시 운영 등과 같은 지방자치단체 활동과 지역사회 청소년 안전망(CYS-Net) 사업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놨다.

2006년부터 운영 중인 지역사회 청소년 안전망은 청소년보호기관·경찰서·소방서 등 공공기관과 콜택시연합회·변호사회와 같은 민간 기관을 비롯한 1만6093개 기관·단체가 네트워크를 구축한 프로그램이기에 매우 효율적이다. 일례로 위기에 처한 아동·청소년이 24시간 운영하는 청소년전화 1388로 신고하거나 주변인이 제보하면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이들 기관·단체에 연락해 즉시 구조토록 한다.

아동·청소년은 한국의 미래를 짊어질 꿈과 활력의 원동력이다. 이들이 웃으며 뛰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차정섭 한국청소년상담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