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중소기업 지원대책-중소기업인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중소기업계는 일단 지원책에 대해선 환영하고 있지만 담보 위주의 대출 관행이 고쳐지지 않는한 자칫 「그림의 떡」이 될 우려가 높고,대책이 제대로 시행되도록 꾸준히 사후관리를 하는데 신경을 더 써달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기윤(韓基允)중소기협중앙회 경제조사부장은 『지원책이 일시적인 자금난 해소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고 그러나『중소기업이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인 담보대출 관행이 근본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 다.
93년 창립,지난해 20억원의 매출을 올린 금속가구업체 J사의 吳모 사장은 『아무리 정부가 좋은 대책을 내놓아도 담보가 없으면 은행들은 진성어음도 할인해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통상산업부와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소기업 지원시책설명회를 듣고 시설자동화자금 4억~5억원을 신청할 생각인데 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서를 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고 더이상 담보도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부가 발표한 정책만 믿고 은행에 찾아갔다 문전박대당하기 일쑤라는 것이 기업인들의 불만이다.
실제로 중소기협중앙회가 지난해 많은 은행들이 「운전자금 대출기간 연장 방안」을 발표한 뒤 해당 은행점포를 상대로 실제 시행 여부를 전화 조사한 결과 K지방은행.N은행등은 발표해놓고도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일이 있다.
강득수(姜得洙)기협중앙회 정책과장은 이와 관련,『은행들이 실제 발표내용과 달리 관련규정을 바꾸지 않거나 규정을 고쳐도 지점이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밝혔다.
이런 현실을 감안,기협중앙회는 중소기업 지원책의 사후관리(애프터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다.
韓경제조사부장은 『금융기관 점포 게시판에 지원책.기준.대상등을 알린 뒤 실제 실적을 공시하고,잘 이행한 점포에 대해선 금융감독당국이 시상하는등 사후관리에 힘을 쏟아달라』고 주문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