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업체 분양경쟁 과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 대전 둔산동의 한 아파트 모델하우스 앞. 불법주차 차량들이 버스정류장까지 차지해 시내버스가 2차로에 정차해 있다.

건설사들이 아파트 청약 열기를 높이는 과정에서 과열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 중구 문화동 옛 군보급창 부지에 아파트 2000여 세대를 짓는 대우건설.신동아건설 컨소시엄은 지난달 26일 서구 둔산동에 견본주택을 공개했다. 이들 업체는 일주일째 본격 청약 접수에 앞서 방문객들을 상대로 `우수고객`등록을 받고 있다.

등록후 아파트에 계약하는 소비자는 완공 입주때 별도 서비스 시공 혜택을 받게 된다. 신청서에는 청약희망 평형과 청약통장 종류.순위를 적고 연락처.주민번호 등도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신청서 끝부분에는 붉은 글씨로 `기재사항을 반드시 기재해야만 사전예약 신청이 가능하다`고 못박았다.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같은 지역에서 분양하는 다른 건설사가 먼저 청약 접수를 시작한 상황에서 자신들의 고객을 잡아 놓으려는 속셈"이라며 "신규 아파트 잠재수요층에 대한 정보도 미리 확보해 놓는 일거양득식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처럼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어 상가 등 다른 분양업자에 넘어갈 경우 판촉전에 이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건설사 관계자는 "청약일 전날까지 `우수고객`등록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는 정작 청약 신청때는 등록을 받지 않을 방침으로 3년후 입주때 `비(非)우수고객`분양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지난달 31일 청약을 받은 문화동의 한신공영㈜은 견본주택 안에 지난해 초 분양한 인근 K아파트의 분양권 웃돈 상승 추이 광고물을 게시, 소비자들로 하여금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시킬 위험이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6월 전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확대.지정돼 분양권 전매가 불가능하다.

한편 대우.신동아아파트는 용적률이 도시계획관련 시조례가 정한 상한선(250%)에 육박하는 249.89%(1단지)로 28, 29층 등 초고층으로 지어진다.

대전=조한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