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후보 등록 첫날] 이모저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 17대 총선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31일 과천 중앙선관위 상황실 직원들이 후보 접수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김태성 기자]

17대 총선 후보등록 첫날인 31일 각 지역 선관위에서는 비교적 한산한 가운데 등록 작업이 진행됐다. 이번 총선부터 후보등록이 모두 끝난 2일에서야 거리유세 등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6대 총선 때는 후보등록을 마친 순간부터 선거운동이 시작돼 후보자들이 이른 아침부터 번호표를 받아 선관위 앞에 줄을 서는 장사진이 연출됐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지난 5년간 후보 및 직계가족의 체납액 등 후보자들이 공개를 꺼릴 만한 항목이 신고대상에 추가됨에 따라 후보자들이 가능한 한 늦게 등록신청을 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16대 총선 때는 등록 첫날 952명이 등록을 마쳤으나 이날은 657명이 등록하는 데 그쳤다. 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이 16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나라당 144명, 민주노동당 86명, 민주당 77명, 자민련 60명 등의 순이었다. 무소속은 97명이었다.

이날 첫 등록 테이프는 자민련 박한상(부산 서)씨가 끊었다. 비례대표의 경우 민주노동당이 오전 9시 중앙선관위를 찾아 가장 먼저 16명의 후보를 등록했다. 주요 정당인 한나라당과 민주당.열린우리당은 이날 비례대표 접수를 하지 않았다.

중앙선관위에선 동전으로 채워진 사과박스 16개가 접수되는 진풍경도 펼쳐졌다. 사회당 비례대표 1번인 박진희씨는 "후보등록을 위한 기탁금 1500만원이 과도하다"며 항의 차원에서 당원들이 모금한 동전을 모아 그대로 접수시켰다. 선관위는 정부 과천청사 농협지점 직원 세 명의 도움을 받아 두시간가량 동전을 확인해야 했다. 지난 16대 총선에서도 서울 관악을 민노당 신장식 후보가 기탁금 2000만원을 자루 38개에 담긴 동전 2만여개를 트럭으로 실어 선관위에 납부했었다.

각 선관위에선 구비서류를 제대로 갖추지 못해 발길을 돌리는 후보도 속출했다. 이번 총선 후보등록 서류는 필수 서류가 9가지, 첨부 서류가 5가지에 달한다. 필수 구비서류에 누락이나 오기가 발견되면 등록이 무효가 된다.

정당 공천장이 없어 추천인 명단을 제출해야 하는 무소속 후보 중 명단 오류 때문에 등록에 애를 먹는 경우가 잇따랐다.

서초을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려 했던 장충근씨는 주민 360명의 이름이 적힌 추천인 명단을 제출했지만 도장이 없거나 주민등록번호가 잘못된 명단을 빼다 보니 296명밖에 안 남아 최소 추천인수인 300명에 미달돼 결국 등록을 하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렸다.

김해갑 선거구에서 출사표를 던진 열린우리당 김맹곤 후보는 등록일에 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는 악재를 겪기도 했다. 거제에서는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씨가 불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져 지지자들이 선거사무실로 몰려가 "불출마는 안 된다"고 요구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김성탁.우정훈 기자<sunty@joongang.co.kr>
사진=김태성 기자 <ts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