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정치 '격랑' 뉴욕까지 파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갈수록 심화되는 서울의 정치격랑이 국제금융시장에까지 파급되는조짐이다.
한국계 은행이나 대기업들의 차입금리 상승은 사실 지난 10월초부터 시작됐는데, 그때는 일본 다이와 은행사건 탓으로 빚어진현상이었다.
일본계은행들의 차입금리가 상승하는 바람에 그 부담을 한국계 은행들도 떠안아야 했다.
그러나 이젠 한국계 은행들만이 문제가 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의 한 금융전문가는 『일본계 은행들은 올랐던 차입금리가 곧 원위치로 떨어졌으나 유독 한국계 은행들만 그대로 있거나 더 올라가고 있다』고 밝혔다.
한일은행의 경우 런던은행간금리(LIBOR)에 대한 가산금리가0.2%정도에서 0.4%로 오른 상태에서 계속 유지되고 있는가하면,신한은행의 가산금리는 종래의 0.2%에서 11월초에 0.
3%로,다시 최근들어 0.4%로 속등하는 현상 을 보였다.무디스와 S&P등의 신용평가기관에서는 홍콩지역본부 조사관계자들을 서울로 보내 실사에 착수토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P는 한국에 대한 국가신용도를 기존의 트리플 B로부터 상향조정을 준비해 왔으나 최근 중단한 상태며, 무디는 지금의 싱글 A에서 하향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식시장쪽에서는 엇갈리는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코리아펀드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스카더의 존 리 부장은 『단기투자자들은 한국주식을 꺼려하는 반면,장기투자자들은 지금의 정치적 불안상태를 오히려 투자기회로 여겨 매수주문을 내고 있다』고밝혔다.
뉴욕=이장규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