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협상, 내각 총사퇴만이 해결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통합민주당이 1일 서울 명동 CGV 앞에서 ‘장관 고시 무효화 규탄대회’를 열었다. 원혜영 원내대표, 손학규·박상천 공동대표, 정세균 의원(앞줄 왼쪽부터)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김형수 기자]

야당은 결국 시민들을 따라 거리로 나섰다. 정부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협상에 나서게 하기 위한 사실상 마지막 카드를 뽑은 셈이다. 통합민주당이 1일 오후 5시 서울 명동 CGV 앞에서 개최한 첫 장외집회인 ‘미국산 쇠고기 재협상 촉구 및 장관고시 강행 규탄대회’에는 민주당 소속 의원 81명 중 40여 명을 포함해 1000여 명의 당원과 일반시민이 참석했다.

연단에 오른 손학규 대표는 “정권을 530만 표라는 큰 차이로 내줘서 대통령이 오만과 독선에 빠지게 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쇠고기 재협상을 반드시 관철시켜야 한다”고 외쳤다. 잇따라 연단에 오른 참석자들은 “장관 고시 철회와 재협상, 그리고 내각 총사퇴만이 국정을 쇄신할 방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의 성토는 집회에 앞서 벌어진 긴급 최고위원회에서부터 시작됐다. 회의에선 전날 밤샘 시위와 물대포 진압에 자극을 받은 탓인지 강경 발언들이 쏟아졌다. 최인기 정책위 의장은 “재협상 추진본부의 성격을 투쟁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촛불시위에 참석한 시민들과의 연결 고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달 31일 천정배·송영길 등 10여 명의 의원이 개인 자격으로 촛불시위에 참가한 데 이어 1일 명동 집회가 끝난 뒤 참석자 대다수가 시청 앞 서울광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차영 대변인은 특히 “경찰 장비 사용 규정에 따르면 경찰관이 생명의 위험을 느끼거나 공공시설 훼손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최소한으로 살수차를 사용하게 돼 있다”며 “지난달 31일 시위대 해산 과정에서 평화적으로 앉아 있는 시민들에게 물대포를 쏴 댄 것은 규정을 어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법률 검토가 끝나는 대로 경찰 책임자를 검찰에 고발할 계획이다.

◇이회창“보수 정권 무너지는 것 원치 않아”=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1일 “한때 한나라당에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보수 정권이 무너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6시30분쯤 청와대를 찾아 요청한 대통령 면담이 불발되자 대신 박재완 정무수석에게 전달한 ‘대통령께 드리는 공개서한’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서한에서 “대통령이 직접 장관고시 절차를 중단하고 쇠고기 재협상을 선언하라” 며 “야당 대표들과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 달라”고 주문했다.

글=임장혁·정강현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