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日 납치문제 한국이 중재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대중(金大中.얼굴) 전 대통령은 북한과 일본의 최대 외교 현안인 납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중재를 제안했다.

金전대통령은 26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서울특파원과의 회견에서 "납치 피해자 가족을 계속 억류해도 북한에는 아무런 이익이 없다"고 지적한 뒤 "한국 정부는 장관급 회담 등을 통해 조기에 해결하는 게 좋다고 충고하고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金전대통령은 최근의 탄핵 정국에 대해선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뒤에도 (한국) 경제와 사회는 안정돼 있다"면서 "한국 정치가 크게 변화하는 계기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金전대통령은 또 "대북 포용정책으로서의 햇볕정책은 지금도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쟁을 하지 않는 이상 햇볕정책 외에는 북한 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서 "북한이 무너질 경우 한국이 그에 따른 경제적.사회적 부담을 질 능력이 없다"고 덧붙였다.

金전대통령은 "햇볕정책으로 남북 간에는 상당한 성과를 올렸으나 북미.북일관계는 진전되지 못했다"고 전제한 뒤 "북한은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2002년 7월 실시한 경제개혁으로 시장경제의 초입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 시장에서는 여러 가지 한국 전자제품이 판매되고 있고 상층부 자제들은 한국의 유행을 흉내내는 분위기"라면서 "다만 핵문제를 둘러싸고 북미관계가 진전되지 않고 있어 남북관계도 제약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견은 金전대통령이 퇴임한 뒤 외국언론과 처음 이뤄진 것으로 金전대통령은 배석한 동시통역사를 통하지 않고 일본어로 질문에 대답했다고 참석자는 전했다.

도쿄=오대영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