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World] “TV포털용 콘텐트 2만여 편 확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LG 통신계열은 유·무선 컨버전 스시대를 맞아 인터넷 중심의 결합 상품에 승부수를 던졌다. 그러면서도 LG 계열은 결합 서비스를 한꺼번에 내놓기보다는 시장 상황을 봐가며 천천히 선보인다는 전략이다. 이는 통신사업 및 회사가 휴대전화(LG텔레콤)와 유선전화·인터넷전화·TV포털(LG데이콤), 초고속인터넷(LG파워콤) 등 3개로 나뉘어 KT나 SK텔레콤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이르면 연내 LG데이콤과 LG파워콤의 합병도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LG텔레콤이 휴대전화 시장에서 가입자 800만 명을 돌파하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어 LG의 결합 파괴력도 통신시장에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LG 계열은 우선 LG데이콤의 인터넷 집전화와 LG파워콤의 초고속 인터넷을 결합한 통합상품을 선보였다. 두 회사는 인터넷전화와 TV포털, 초고속인터넷 사이의 콘텐트 공유와 TV·전화기에서 다른 단말기의 콘텐트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추진중이다. 또 하나의 단말기로 사무실과 집에서는 인터넷(IP)망 유선전화로, 외부에 나갈 때는 이동통신망 휴대전화로 쓸 수 있는 듀얼모드 전화기를 개발하고 있다. LG데이콤 고연순 부장은 “무선인터넷 전화기(WiFi)인 ‘myLG070’을 쓰기 때문에 집 전화의 이동성이 강화되고 이용요금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G 계열은 하반기에 시행될 것으로 보이는 IPTV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LG파워콤은 올해 700억원을 들여 ^광랜 엑스피드(100Mbps급)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고^고화질(HD)급 영상콘텐트를 확충하며^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TV포털용 콘텐트는 상반기에 2만여 편으로 늘어난다.

이와 함께 LG 통신 3사는 일부 지역에서 공동 서비스 체험존을 운영한 데 이어 전국의 유통망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LG 계열의 유통망은 LG텔레콤 1200여 곳, LG데이콤 500여 곳, LG파워콤 200여 곳 등 모두 1900여 곳에 달한다. LG데이콤 안성준(상무) TPS사업부장은 “단순히 몇 가지 상품을 묶어 요금만 할인해 주는 결합 서비스는 반쪽자리 결합 서비스에 불과하다”며 “LG데이콤은 계열사 및 자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단순한 묶어 팔기가 아닌 플랫폼과 콘텐트가 완벽히 연동된 첨단 결합 서비스 및 문화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LG데이콤과 LG파워콤의 공조체제에 LG텔레콤도 가세할 전망이다. LG텔레콤 측은 “데이콤과 파워콤과의 시너지를 위해 앞으로 다양한 유·무선 통합 상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또 ‘기분존’ 등 새로운 통신 서비스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기분존은 블루투스 기능이 달린 소형장비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면 반경 30m 이내의 거리에선 휴대전화를 이용해도 유선전화 수준의 저렴한 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김윤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