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사, 병원 치료비 실비 보장 민영의료보험 첫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경계가 급속하게 허물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종신·변액보험은 생보사만 판매하고 있고, 자동차·화재보험은 손보사의 영역이다. 질병이나 상해에 대비한 보험의 경우도 생보사는 미리 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정액형 상품만을, 손보사는 실제 피해를 본 액수를 보장하는 실손형 상품을 취급했다.

그러나 손보사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져온 실손형 보험상품 시장에 생보사가 뛰어들었다. 삼성생명은 13일 가입자가 실제로 쓴 치료비 액수만큼을 지급하는 민영의료보험 상품을 선보였다. 종신 보험, 치명적 질병 보험에 가입하면서 함께 들 수 있는 특약 형태다. 교보생명도 같은 특약 상품을 20일부터 판매하며, 대한생명은 다음 달 중순께 시판할 예정이다.

◇생보, 치료비 80%만 보장=생보사들은 보험금이 과도하게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실제 쓴 치료비의 80%만 보장하는 상품을 내놨다. 20%는 가입자가 부담해야 한다. 보험금 지급 한도는 ▶입원의료비 연간 3000만원 ▶통원의료비 한 번에 10만원(연간 180회) ▶처방조제비 처방전당 5만원(연간 180회)이다. 손보사의 기존 상품은 실제 의료비의 100%를 지급하고 있다. 입원의료비 한도도 연간 기준이 아닌 질병이나 사고당 3000만원이다.

◇생·손보 교차판매도=8월 30일부터 고객은 한 명의 설계사에게서 종신 보험과 자동차 보험을 함께 들 수 있게 된다. 교차판매가 허용되기 때문이다. 지금은 ‘1사 전속제’로 설계사가 소속회사 상품만 팔 수 있지만 이 제한이 사라지는 것이다. 교차판매가 시행되면 고객들은 한 명의 보험설계사를 통해 보험을 통합 가입하고 종합적인 재무설계도 할 수 있게 된다. 또 손·생보사가 각자의 특성을 살린 경쟁 상품들을 더 많이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보사가 민영의료보험을 팔면서 종신 보장이 가능한 상품을 내놓은 것이 좋은 예다. 상품 경쟁력을 갖춘 중소형 회사엔 판매망을 넓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보험연구원 안철경 연구위원은 “보험사들은 설계사가 선택할 만한 상품을 내놓기 위해 경쟁할 수밖에 없다”며 “설계사도 더 싸고 좋은 상품을 소비자에게 권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선택권도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