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평가>9.전기.전자 계열평가-분석 방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전기.전자계열은 교수.시설.학생.평판도의 4개 부문 17개 지표를 종합해 평가했다.각 부문의 평가지표는 대학교수등 전문가들에게 자문해 결정했으며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했다.
교수 부문은▲교수1인당 학생수(15)▲SCI 게재 논문(15)▲조교 1인당 학생수(5)를 기준으로 했으며,시설은▲교육부 기준 실험실습설비 확보율(16)▲학생 1인당 PC대수(4)및 워크스테이션대수(5)▲전산망 구축여부(5)등을 분 석했다.
학생 부문은 ▲94년 입학생 수능시험 평균점(5)▲95년 2월 졸업생의 4월1일 현재 취업률(10)을,평판도는 전기.전자공학 교수 1백84명과 관련분야 연구소 연구원 1백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한 결과다(이상 괄호안은 가 중치).논문실적의 경우 최근 3년간 SCI 수록 교수1인당 편수(제1저자기준)와 인용기대치를 함께 고려했다.
한편 시설기준등이 다른 KAIST는 타대학과 평면비교가 어려워 종합순위에서는 제외하되 각 지표에서 위치를 밝혔고,졸업생을배출하지 않은 신설 대학도 평가대상에서 제외했다.
전기.전자계열로 분류되는 학과는 전파.통신.제어등 10여개에이르나 최근 이들 학과가 통합되는 추세인데다 전기.전자공학과만으로도 이 계열을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해 나머지 학과는 평가에 포함하지 않았다.
각 평가지표는 각 대학의 전기및 전자공학과의 평균수치를 사용했다. 〈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