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처벌 連帶 가시화-韓總聯 동맹휴업 의미.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국대학생총연합회(한총련)의 동맹휴업을 계기로 대학가와 재야.시민사회단체의 5.18관련자 처벌을 위한 특별법 제정및 특별검사제 도입을 위한「연대(連帶)」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같은 조직적인 연대는 문민정부 출범은 물론 91년 강경대(姜慶大)군 치사사건 이래 처음이다.
「5.18문제 해결」이라는 공통분모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결속력을 보여 향후 정국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내년 총선과 맞물려 정부와 여당의 정국운용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됐으며 야권으로선 현정권에 대한 공격 수단을 확보한 셈이 됐다.
대학가와 재야.시민사회단체의 연대에 기폭제 역할을 한 것은 지난 7월초 검찰의「5.18 관련자 불기소 처분」이다.
검찰의 결정이후 대학가와 재야.시민사회단체.노동계.종교계.교수,초.중.고 교사들은 서명운동.규탄시위.단식농성을 전개했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등 종교계를 비롯,전국연합.참여연대.경실련.환경운동연합.민주노총.전국농민총연맹.전교조등 3백50여개 단체가 동참했다.
이중에는 71년 위수령발동에 저항했던「7.1동지회」등 그동안뚜렷한 움직임이 없던 단체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지난 7월13일 고려대교수의「5.18특별법 제정 서명운동」을필두로 대학교수들과 1만여 초.중.고 교사들도 5.18규탄 운동에 동참했다.
침체일로에 있던 학생운동 세력도 뚜렷한 부활 조짐을 보였다.
한총련이 주도한 동맹휴업에는 전국 1백20여개 4년제 대학이참여하고 있다.
쌀수입 파동과 관련,30여개교만이 참여한 지난 4월에 비해 엄청난 결속력을 과시했다.
특히 문민정부 출범이후 처음으로「5.18 진상규명과 광주항쟁정신계승 국민위원회」를 비롯,각 시민사회단체와 종교단체.한총련대표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정기국회에서 5.18특별법 제정이 부결될 경우 이들 연합세력의 투쟁 강도는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총련은 5.18 특별법안이 부결되면「5.18관련자를 비호하는」 현정권에 대한 퇴진운동을 벌이기 위해 민자당사등 주요기관점거농성등 강력히 투쟁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다음달 중순으로 예정된 중간고사를 거부하거나 장기간의 전면 수업거부를 단행하고 더나아가 내년 총선에서 민자당의원 낙선투쟁등도 전개한다는 것이다.
〈表載容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