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ve Earth Save Us] 걷기는 편하고 차는 불편한 도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2012년까지 친환경 생태도시로 조성되는 '감계지구 에코타운' 조감도.

15일 경남 창원시 북면 감계리에서 창원 에코타운 기공식이 열려 초청 인사들이 축하 발파 버튼을 누르고 있다. [사진=송봉근 기자]

걷기는 편하고 차량은 불편한 마을이 세워진다. 경남 창원시는 15일 북면 감계리에서 박완수 시장과 한나라당 권경석 국회의원,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 에코타운’ 기공식을 열었다. 에코타운은 201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7년보다 35% 감축하는 등 친환경 생태도시로 만들겠다는 프로젝트다. 2012년까지 1299억원을 들여 108만9662㎡ 부지에 조성되는 에코타운에는 6911가구 2만2115명이 살게 된다.

◇보행자 중심 도로망=에코타운의 용지는 주거(50만2486㎡), 도로·주차장·학교·공공청사 등 도시기반시설(52만6124㎡), 공업( 5만7052㎡), 문화시설(4000㎡)로 구성된다. 특징은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모든 횡단보도는 차도 바닥보다 높여 인도와 높이를 맞추도록 했다. 사람은 편리하게 지나지만 차량은 요철을 지나느라 덜컹거리게 된다. 너비가 6∼8m로 좁은 도로도 한쪽에 2m짜리 보행로를 설치, 차도 너비는 4m뿐이다. 10m도로는 2m짜리 보행로를 양쪽에 설치해 차도는 6m다. 일반적으로 너비 12m 이상인 도로에만 인도를 설치하는 것에 비하면 파격적이다.

도심 가운데를 흐르는 3㎞의 하천 둔치에는 보행자 전용도로가 생긴다. 보행로를 따라가는 하천과 저습지는 생태천으로 가꾼다. 곳곳에 생태웅덩이를 만들고 수생식물도 심는다.

◇많은 녹지 면적=에코타운은 생태면적률 개념을 국내 처음으로 도입했다. 녹지를 아파트 30%, 단독주택 5%, 학교 20% 이상 확보하도록 의무화했다. 생태 면적은 지반 위에 조성한 녹지가 기준이다. 녹지 밑 지하에 콘크리트 시설물이 있으면 지상 녹지면적의 40∼80%만 생태면적으로 계산한다. 땅의 훼손을 적게 하고 더 많은 녹지 확보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물을 투과시키는 특수포장 도로는 생태면적률에 포함된다. 25만㎡ 이상 면적에 도시개발사업을 벌일 경우 생태면적률을 적용토록 지난해 환경부가 만든 새 지침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이다. 공원 녹지율은 24%에 달해 8곳(26만3000㎡)에 조성한다. 여기에 주거지역 평균 생태 면적률 26%를 포함하면 체감 녹지율은 50%에 달한다.

에코타운은 개발 뒤 땅 주인에게 공공용지와 공사비를 빼고 땅을 되돌려 주는 환지방식으로 추진한다. 때문에 주민들은 돌려받을 땅이 줄어들어 처음엔 반대했으나 지금은 입장이 바뀌었다. 심재모(54) 개발추진위원장은 “마을 환경을 보전하면서 생태적으로 개발한다는 소식에 오히려 땅값이 오르면서 대부분의 주민이 찬성으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생태 면적률 같은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지켜서 아시아 어느 도시와도 견줄 수 있는 명품 생태도시로 가꾸겠다”고 말했다.

글=김상진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