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신비>친족인식 上.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친족인식이란 사회를 이루는 모든 생물체의 기본 원리다.인간은성(姓)을 사용한다든가 또 족보확인으로 친족을 인식한다.야생화에서 말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식물들도 나름대로 친족식별의 기법을 가진다.이 생물들이 왜 친족을 인식하며 어떻게 인식하고있을까. 생물친족 인식의 첫째 이론은 개미나 벌처럼 자신이 새끼를 직접 낳지 않고 어미가 낳은 새끼를 돌보는 동물에서 자신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운 친족의 번식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또다른 이론으로 동질유전자를 가진 개체간 교배를 통해 해로운유전적 특징을 발현시키기 때문으로 친족인식은 생물에서 필수적이다. 생물은 친족인식을 위해 두 가지 기법을 사용한다.하나는 생김새에 의한 직접방법이고,다른 하나는 시간.장소와 관련된 간접방법이다.어떤 경우는 이 두가지를 혼합,인식하기도 한다.우리나라 외딴 섬에서 군락을 이뤄 둥지트는 괭이갈매기가 좋은 예다. 괭이갈매기는 생후 3일간은 태어난 둥지에 남아 있으며 어미는 그동안 새끼를 품는다.3일이 넘으면 새끼는 스스로 둥지에서나와 근처 풀숲에 숨을 수 있다.만일 생후 3일 이전의 새끼를가진 어미에게 다른 둥지,같은 또래의 새끼를 넣 어주면 자신의새끼로 받아 들이지만 4일이 지나면 어미는 그 새끼를 받아들이지 않는다.자신의 새끼들과 함께 넣어 주면 다른 둥지출신 새끼를 마구 쪼아댄다.괭이갈매기는 새끼들이 움직이기 시작할 무렵이면 새끼들이 서로 섞이기 때문에 직 접방법으로 자신의 새끼를 식별한다.즉 우리 눈에는 구별되지 않지만 새끼들의 외모나 소리는 어미로 하여금 친족임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키가 된다.
간접방법으로 괭이갈매기는 만 4일이라는 시간 이전에는 친족인식이 불가능하나 4일이 넘 으면 자신의 새끼와 다른 둥지의 새끼를 분명히 인식한다.
시각적 특징은 좋은 시력을 가진 영장류 등의 동물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이다.개구리처럼 어두운 곳에서 짝을 유인하는 동물은음성적 특징을 사용한다.화학적 물질,즉 냄새 또한 동물들에게 중요한 친족 인식표가 된다.이런 화학적 친족 인 식표는 제비꼬갈.미국자리공.창질경이 같은 식물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이들은뿌리에서 분비하는 화학물질로 근연식물의 꽃가루를 인식한다.생물들의 화학물질에 의한 친족인식은 인간의 면역체계와 같은 역할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朴 是 龍 〈한국교원대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