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北 추가지원할 외국産 쌀 수입국서 북한에 직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앞으로 북한에 쌀을 추가로 지원하기 위해 외국산 쌀을수입할 경우 이를 국내에 들여오지 않고 국내 민간상사나 조달청을 통해 수입국에서 바로 북한에 보낼 방침이다.
또 국내 쌀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당초 99년까지 개발.보급키로 했던 신품종을 2년 앞당겨 보급하는등의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최인기(崔仁基)농림수산부장관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힌 후 『1차로 공급할 쌀 15만t가운데 93 년산으로 정한 5만t외에 나머지 10만t은 89년,92년,93년산 일반미를 보내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쌀을 보내주는 것 외에 북한의 쌀생산력 확충을 위해 비료.품종.농기계등의 남북한 교류도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적극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22일 외국에서 도입해서라도 북한에 쌀을 더 지원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그는 『그같은 방안도 2차협상에서 종합적으로 포괄해 검토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崔장관은 이어 『쌀 15만t은 장마철을 감안해 오는 10월까지 보낼 것이나 맑은 날씨가 계속될 경우 이보다 앞당겨질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의 쌀 수급사정과 관련,그는 『국내 쌀 수급상 북한에 대한 지원규모의 적정선을 1백만섬 정도로 보는 것이 농림수산부의입장이었다』면서 『그러나 대북(對北) 쌀 지원규모가 늘어 수입쌀로 제공할 경우 내수용이 아니기 때문에 수입 에 따르는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崔장관은 이밖에 국내 쌀생산력 제고를 위해 오는 99년까지 개발,농가에공급키로 한 「수원 405호」등 다수확품종을 2년 앞당겨 97년까지 보급하고 농업의 기계화.과학화에도 주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朴義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