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通사태 어떻게 매듭될까-노조집행부 인사조치 새국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의 강경 대응 의지에 따라 한국통신사태는 단시간내에 새로운 국면을 맞게됐다.한국통신노조는 핵심간부의 인사조치에 이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사법처리로 현집행부의 와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또한 한국통신 경영진도 사태 악화에 대한 책 임을 면치못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고위 경영진에 대한 인책이 뒤따를 전망이다.
한국통신은 이에따라 이번 사태로 새로운 노사관계가 정립되는 계기를 마련,정부가 추진해온 민영화.자회사 설립.인력구조 개편등 경영혁신에 급피치를 올리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이번 사태가 결과적으로 국내 통신시장 개방과 통신사업의 경쟁체제 전환이라는 정부의 정책방향을 다지는 기반을 마련해준 셈이다.사측의 핵심간부 64명에 대한 중징계방침에 대응,노조는「권한대행」성격의 집행부를 구성할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현 집행부와 거리가 먼 새로운 집행부를 구성하게될 것 으로 회사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검찰의 사법처리도 사측의 중징계 못지 않게 노조를 무력화시키는 요인이다.김부중(金富中)한국통신 인력관리실장은『이미 지난해부터 발생한 공공시설 불법점거 농성등을 이유로 고소.고발된 사건에 따라 집행될 것이기 때문에 사태의 진정여부와 는 무관하게강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대다수 노조원들이「통신대란(大亂)」이라는 극단상황은 원치 않고 있다는 점도 현 집행부를「종이 호랑이」로 만드는 원인이다.노조의 최대 무기는 파업등 단체행동이다.그러나 국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안겨줄 단체행동의 강행에 대해서 는 일부 노조 간부들조차 명분이 없다는 이유로 반대의사를 밝히고 있다.
회사 경영진에도 사태의 책임을 묻는 철퇴가 내려질 것으로 보는 것이 사내외의 한결같은 전망이다.청와대가 나서는 상황까지 간 마당에 정부가 경영층에 대해 그냥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라게정부측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다.따라서 노조간부에 대한 징계가 마무리되는 내달중 고위 경영층에 대한 인책이 있을 것이라는 얘기가 설득력 있게 나돌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통신사업 경쟁체제및 한국통신 민영화정책의 추진을 더욱 가속화시킬 전망이다.
이같은 정부의 의지는 20일 경상현(景商鉉)정보통신부장관의 對국민 담화에서도 나타났다.景장관은『지난 9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통신정책은 개방화.세계화에 맞춰 국가경쟁력을 높여주었다』고 밝히고 앞으로도 이를 재고할 생각이 없음을 분 명히 했다.
이에따라 한국통신은 경영합리화계획에 따라 조직의 슬림화에 이어 시내.시외.국제.데이터.위성등 각 사업본부의 회계분리를 통한 한국통신 그룹화를 본격 추진하는등 경영개혁의 고삐를 바짝 죄게될 전망이다.
한국통신의 신경영체제는 독립채산제 성격의 본부체제에서 회계가완전 분리되는 자회사를 거느리는 그룹체제로 전환되고 내년까지 정부의 주식지분을 51%까지 줄이는 민영화계획도 강력히 추진될것으로 보인다.
〈李元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