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충주 기업도시 예정대로 상반기 첫 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강원도 원주와 충청북도 충주에 기업도시를 만드는 공사가 상반기에 시작된다. 정부가 바뀌었는데 기업도시 건설을 예정대로 밀어붙이는 것이다.

건설교통부는 원주와 충주의 기업도시 실시 계획을 승인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로써 6개 기업도시 후보지 중 3곳의 실시계획이 승인됐다.

원주 기업도시는 2012년까지 7819억원을 투자해 의료·바이오 산업도시로 조성된다. 충주 기업도시는 2011년까지 5544억원을 들여 전자·전기 부품소재 중심지로 육성한다. 사업비는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이 조달하지만 정부가 손실보전이나 기반시설 설치비 일부를 부담할 수도 있다. 관광·레저 도시로 개발되는 태안 기업도시는 이미 지난해 10월 착공했다. 건교부는 무안, 무주, 영암·해남 기업도시 역시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공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원주·충주 기업도시 승인은 노무현 정부 막바지에 서둘러 진행됐다. 승인을 하려면 기업도시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건교부는 위원 30명을 모으기 어렵다는 이유로 개별접촉을 통해 서면으로 심의를 했다. 서면심의는 노무현 정부 막바지인 1월 31일~2월 12일 이뤄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균형발전 정책이 후퇴하지 않도록) 임기 안에 첫 삽을 뜨고 말뚝을 박고 대못을 박아두고 싶다”고 말했다.

새 정부도 행정복합중심도시와 혁신도시(공공기관 이전)는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총선을 앞두고 해당 지역의 표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서다. 그러나 전국을 7개 광역경제권으로 개발한다는 구상에 따라 기업도시의 성격과 내용이 조정될 여지는 있다. 정정목 청주대 교수는 “중앙정부가 주도한 지역 개발이 성공한 사례는 세계적으로 없다”며 “지금이라도 기업도시와 혁신도시 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