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남은 건 해녀 구출작전” 인수위 “원칙은 못 무너뜨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통합민주신당 김효석 원내대표<右>와 김진표 정책위의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정부조직법 개편안 협상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사진=조용철 기자]

“51%라고 하면 높은 걸로 봐줄 건가.”

꼬일 대로 꼬인 정부조직 개편안의 협상 타결 가능성을 두고 14일 오후 5시쯤 주호영 당선인 대변인은 이같이 말했다. 또 다른 인수위 관계자는 “40% 안팎”이라고 전했다.

이런 전망 때문일까. 당초 14일 밤까지라던 한나라당과 대통령직 인수위, 대통합민주신당 간 협상 시한이 15일 오전으로 늦춰졌다.

주 대변인은 “양측이 (시한을) 오늘 밤으로 보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가부간 결과는 내일 아침에 나오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비 야당도 국민을 대표하는 정당이니 그쪽의 동의를 받아 출발해야 모양이 좋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통합신당 관계자도 “오늘 밤까지 협상해 내일 아침 결론 낼 것”이라며 “타결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실제 한나라당에선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과 안상수 원내대표, 박재완 정무수석 내정자, 임태희 당선인 비서실장, 그리고 이재오 전 최고위원 등이, 통합신당에선 김효석 원내대표와 김진표 정책위의장, 그리고 소관 상임위인 행정자치위원장인 유인태 최고위원이 협상 채널로 뛰었다. 이 중 김형오-유인태, 안상수-김효석 의원 등 일부는 밤에 만나 담판을 시도했다.

협상이 결렬될 듯하다가도 이렇듯 이어지는 건 양쪽 모두 엄청난 정치적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가 합의 속에 정상 출범할지 또는 파행과 파국으로 시작할지가 달려 있는 사안이다. 또 4·9 총선은 물론 이명박 정부 5년의 대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기도 하다.

정치권에선 그래서 “15일 오전 중 타결될 것 같다”는 전망이 나온다. 쟁점인 해양수산부·여성가족부·농촌진흥청의 존치 문제를 두고 셋 다 살려 내야 한다고 고집하던 통합신당이 해양부와 여성가족부 둘 중 하나라도 존치하자고 다소 물러선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인수위에선 여성가족부 대신 장관급인 양성평등특위를 두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어 양측 입장이 좁혀질지 주목되고 있다. ‘작은 정부’에 대한 의지가 확고한 이 당선인이 수긍할지, 수긍하지 않을 경우 통합신당이 어떤 선택을 할지가 마지막 변수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右>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안상수 원내대표<左>, 이방호 사무총장과 얘기하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양측은 이날 공개적으론 압박 전술을 구사했다. 인수위에선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른 14명 안팎의 장관 내정자 이름이 흘러나왔다. 일종의 ‘최후 통첩’이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원칙을 무너뜨리는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과 가까운 한 인사는 “반발한다고 수용하고, 안 한다고 그대로 두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톤을 높였다.

통합신당은 통합신당대로 목소리가 커졌다. 손학규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 제의에 이틀째 확답을 주지 않았다. 그는 대구 기자간담회에서 “대선에서 승리했다는 이유로 무조건적인 항복을 강요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효석 원내대표도 의총에서 “현재 정부조직법에 따라 장관을 내정해야 법률을 지키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총도 성토 분위기 일색이었다.

유인태 최고위원은 “법을 어기면서 있지도 않은 자리에 장관을 임명하겠다는 걸 보니 알아서 해보라고 하고 싶기도 하고 정권 출범을 앞두고 해줘야 할 것 같기도 하다”며 “남은 것은 해녀(해양부+여성부) 구출 작전”이라고 말했다.

고정애·임장혁 기자 , 사진=조용철·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