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리더만들기④] 초·중생 새 학년 학습 전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서울 광화문의 한 대형 서점에서 예비 중2 여학생이 엄마와 함께 수학 기본서를 고르고 있다. 정치호 기자

올해 중2가 되는 김보경(성남 숭신여중)양은 요즘 개학을 앞두고 과목별 학습전략 짜기에 바쁘다. “평소 책을 많이 읽지 않아 국어가 취약하다”는 보경양은 새 학년 국어 교과서를 통독하고, 마인드맵 필기법으로 사회·과학 예습도 하고 있다. 학습전문가들은 2월에 기본기를 다져두지 않으면 자칫 ‘1년 농사’를 망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새 학년 첫 시험에서 고득점을 올려야 자신감이 붙는다는 것이다. 과목별 자기 주도 학습법을 알아본다.

◇“국어, 자습서보다 교과서 정독이 효율적”=보경이는 자습서에 의존해온 습관을 고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국어 성적을 올리려면 교과서 본문을 두세 차례 정독해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 번은 통독을, 한 번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며 읽는 게 좋다. ‘깊이 읽기’를 할 때는 문단을 나누고 주제를 찾는다. 또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의 원전을 읽으면 도움이 된다.

시험 ‘기술’도 알아둘 만하다. ‘이 지문에선 이 문제가 나오는구나’ 생각하며 유형을 패턴화시켜 본다. 지난 시험 문제지를 수업시간에 필기한 내용과 비교하는 것도 방법이다.

서울 영문초교 송중헌 교사는 “고학년의 경우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프레젠테이션으로 만들어 가르치는 경험을 하면 학습 의욕이 더 높아진다”고 말했다.

◇영어 교재의 여백을 단어장으로=교재를 많이 산다고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니다. 어휘·문법·독해 교재를 한 권씩 골라 반복 학습한다. 독해할 땐 핵심을 빨리 파악해야 한다. 지문 옆에 제한 시간을 적어놓은 책을 골라 훈련한다. 단어장은 힘들여 만들기보다 교재의 여백을 단어장으로 활용하는 게 낫다. 영어책만 보지 말고 영어로 된 전자제품 사용설명서, 관광지 홍보물을 읽으면 어휘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초등학생은 스토리북을 꾸준히 읽으면 ‘저비용 고효율’의 영어공부를 할 수 있다. 케이스의 학습법 연구멘토인 이지은씨는 “영어일기 쓰기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그날 하루의 느낌을 영어 한 문장으로 써보는 것부터 시작하자”고 말했다.

◇수학 문제집에 ‘공부 이력’을 남겨라=아시아코치센터 학습코치 권종현씨는 “수학을 싫어하는 중하위권 학생은 오답노트보다 약점노트를 만드는 게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틀린 후 바로 답을 알게 된 문제는 풀이과정을 문제집에 적고, 다음에 봐도 풀기 힘든 문제는 약점노트에 기록해둔다. 문제를 풀 때 ‘공부 이력’을 남기면 좋다. ‘풀었지만 틀린 문제’ ‘문제를 못 풀어 답을 보고 이해한 문제’ 등으로 구분해 둔다. 반복 학습할 땐 별표 표시한 문제 위주로 본다.

서울 동산초 송재환 교사는 “초등학생은 80점쯤 나오는 수준의 문제집을 고르는 게 좋다”며 “한두 권만 골라 반복해서 풀 것”을 권했다.

◇사회는 마인드맵으로 복습하자=사회 과목은 교과서 소제목별로 내용을 파악하며 읽은 후 요약하는 훈련을 한다. 도표나 지도, 사진도 꼼꼼히 살핀다. 마인드맵 노트 필기법을 예습·복습에 활용하면 좋다. 백지노트에 문장 대신 핵심 단어를 사용해 요약하면 된다.

서울 성사중 윤소영 교사는 “과학은 탐구활동을 해보면서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천천히 궁리하는 습관을 키워야 한다”며 “특히 한자를 공부하면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박길자 기자 , 사진=정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