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지역 개발특별법 추진-정부방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주요 폐광지역을 고원(高原)관광단지로 개발하기 위해「폐광지역 개발촉진 특별법」(가칭)을 제정할 방침이다.
〈관계기사 22面〉 또 통상산업부에 폐광지역 개발촉진 지원단을 설치,중앙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와 함께 사북(舍北).고한(高汗)지역 주민들의 시위와 관련,2백40억원을 들여 동원(사북).삼탄(고한)의 석탄생산량 가운데 올해 30만t을 정부 비축분으로 추가 매입하기로 했다.
박운서(朴雲緖)통상산업부차관은 3일 오전 강원도 사북 읍사무소에서 사북.고한 살리기 운동본부(위원장 沈乙補)대표단과 회담을 갖고 이같은 정부안을 제시했다.
朴차관은 또 지금까지 폐광.감산대책비 등 주로 소모성 경비로집중돼온 정부의 지원자금을 앞으로는 대체산업 육성으로 돌려 이지역에 실질적인 산업유치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동원은 화차.객차 제작소를,삼탄은 스키장을 구상하고 있는데,앞으로 정부의 폐광지역 지원금은 이들 업체의 대체산업 개발에 집중될 예정이다.
89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는 탄광에 대해 모두 2조1천5백31억원을 투입했는데,이 가운데 탄가보조비.폐광대책비.감산대책비등 소모성 경비가 1조7천3백63억원에 달했고 지역진흥사업비.
기계화 등 구조조정 사업에 투입된 돈은 4천1백6 8억원에 불과했다. 통산부는 또 폐광지역을 고원관광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내국인이 드나들 수 있는 카지노를 유치하기로 하고,관계부처와 협의를 시작할 방침이다.한편 통산부는 오는 98년부터 석탄의 연간 생산량을 석탄공사와 경동이 각1백만t,동원.삼탄.한 보에너지에 각 50만t,그리고 나머지 군소탄광은 20만~30만t 등 모두 3백70만~3백80만t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아울러 오는 98년 동해무연탄화력발전소를 가동시키면서 발전용석탄수요를 연간 2백30만t으로 늘려 군용.서민용등 기초수요 1백70만t을 합쳐 연간 소비량을 4백만t 정도로 관리할 방침이다. 또 지난해 북한산 아연과 남한산 무연탄 50만t을 맞바꾸자는 북한측의제의를 적극 검토,북한에 무연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키로 했다.
[舍北=南潤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