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THE GLOBAL CHALLENGE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세계화와 국제화가 이 시대의 상징어가 되고 있다.이 용어는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이란 단어에 뿌리를 둔 것으로 원래 기업세계에서부터 출발한 것이다.아직도 말은 무성하지만 우리 사회에 유행하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진정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왜냐하면 기업의 글로벌라이제이션조차도 다룬 책이 드문 실정이기 때문이다.이 책의 제목인 『세계적인 도전-새로운 세계적인 기업의 구축』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크게 두가지인데 하나는 기업을 둘러싸고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다.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인식은 우리가 궁금해 하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의 특성과 그 모습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다른 한가지 목적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글로벌라이제이션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글로벌 기업을 위해 직접 활용할수 있는 아이디어.모델,그리고 패 러다임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크게 3부 13장으로 이뤄져 있다.제1부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이라 불리는 급속한 변화의 물결을 가져오는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12가지 원동력이 과연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다.이같은 변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글 로벌비전및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과 그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제2부는 급속한 환경변화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경영자들이 조직의 전략적이고 글로벌한 비전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통조직과 글로벌조직과의 비교를 시도하고 있는데 글로벌 조직이 갖춰야 할 13가지 특징을「이상적인 글로벌 조직」이란 이름으로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다.이같은 기준과 현재 자신의 조직이 처하고 있는 상황을 비교함으로써 기업은 글로벌 조직으로의 변신을 위해 무엇을 보완해 나가야 하는가를 알 수 있을것이다.제3부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첨병인「글로벌 관리자」(Global Manager)가 갖춰야 할 12개의 덕목을 다루고 있다.저자들은 글로벌 조직의 승패를 결정하는 것은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추진하는 실무자인 글로벌 관리자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고있다.특히 글로벌 관리자의 육성을 위해 기업들이 과감한 투자와체계적인 노력을 아끼지 말것을 강조하고 있다.이는 최근들어 한국기업에서 유행병처 럼 번지고 있는 국제화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화를 위한 총론만 무성한때 이 책은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