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중앙일보를읽고

농협 신용사업 수익 절반 농촌 위해 사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12월 3, 4일자 각 8면에 실린 ‘농협 바꿔야 농업이 산다’란 시리즈 기사를 읽고 사실과 다른 내용들에 대해 농협중앙회 노동자의 대표인 노동조합 위원장으로서 독자들에게 올바른 이해를 구하고자 한다.

농협의 역할에 대한 중앙일보의 애정 어린 비판에 대해서는 겸허하게 수용하며 농협이 진정한 농민의 대변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농협중앙회 노동자 모두는 한층 더 심기일전할 것을 다짐한다. 그러나 오늘날 한계 상황으로 내몰린 한국 농협 현실에 대한 진단은 외면한 채 마치 농협에만 책임이 있는 것처럼 주장하고 설립 목적이 의심스러운 일부 단체와 특정인의 일방적인 주장이 농업계의 일반적인 주장인 것처럼 보도한 것은 심히 유감이다.

 농업의 병은 질병이나 노환이 원인이 아니라 오랫동안 심하게 맞아 생긴 병이다. 60~80년대에는 수출 입국을 표방해 부족한 노동력을 농촌에서 징발하고, 90년대 이후에는 개방만이 살길이라고 휴대전화·자동차·반도체의 수출을 위해 농업 포기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한 정부와 이에 동조해 농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역설한 세력에 의해 한국 농업은 회복하기 힘든 중환자가 된 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농협중앙회는 한 자락 희망을 놓지 않고 농업 회생을 위한 지원에 매달리고 있다. 농협이 신용사업을 통한 돈벌이에만 치중했다는 일부 비난에도 불구하고 매년 벌어들인 손익의 절반인 수천억원을 농업·농촌 발전자금으로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신용사업 매출 총이익의 1.1% 수준에 불과한 정책 자금이 ‘땅 짚고 헤엄치기’ 영업이자 방만 경영의 원인이고, 매년 3중 4중의 감사를 받는 농협중앙회에 대해 견제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등의 기사는 사실과 다르다. 이는 365일 농업·농촌을 위해 매진하고 있는 농협 노동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것이다.

 농협중앙회는 2006년 기준 사회공헌액 1304억원을 기부한 바 있고 2015년까지 총 13조원을 투자하는 경제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농협중앙회 노동자는 임직원 1만5000명이 매월 회비를 내며 참여하는 ‘우리농업살리기 운동본부’를 통해 독거노인 지원, 소년소녀 가장 지원, 조손 가정 지원, 개안수술비 지원 등 농촌 살리기 운동에 총력 매진하고 있음을 독자 여러분이 알아 줬으면 한다.

 김종현 농협중앙회노동조합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