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푸는역시] 정조는 『일성록』을 매일 직접 기록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27일 실시되는 제3회 ‘역시(歷試·한국사능력검정시험)’를 앞두고 예상 문제를 풀어보는 코너를 마련했다.

[예상문제1] 위 삽화에 나오는 대화 글로 미루어 보아 어느 시대의 역사 인물들인가?

① 원시시대 ② 삼국시대
③ 통일신라시대
④ 발해시대 ⑤ 조선시대

[예상문제2] 조선시대 정조에 관한 드라마 홈페이지의 이벤트 화면이다. 사실과 다른 내용의 댓글을 단 사람을 모두 골라 묶은 것은?

▶‘정조는 어떤 왕이었나?’ 한 줄로 정의해 주세요.

→㉠정조짱:군역 부담을 줄이기위해 균역법을 시행한 왕

→㉡개혁왕:과거제도 개선의 칼을 빼든 왕

→㉢착한백성:‘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나듯 백성에 대한 사랑이 강한 왕

→㉣love정조:중요 정사를 매일 기록하여 『일성록』을 적은 왕

→㉤행렬도:역대 왕릉 참배를 자주해 강한 왕권을 자랑한 왕

→㉥깐깐짱:신진 인물은 물론 상급 관리까지도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도를 실시한 왕

① ㄷ ② ㄷ,ㄹ ③ ㄹ,ㅂ
④ ㄱ,ㄴ,ㄷ ⑤ ㄹ,ㅁ,ㅂ



[정답 및 해설]

 1-②. 삼국 시대 정치체제의 특징인 귀족회의에 대한 설명이다. 고구려 제가회의(諸加會議), 신라 화백회의(和白會議), 백제 정사암회의(政事巖會議)는 국가 중대사를 결정했던 귀족 대표자 회의였다. 오늘날 수상에 해당하는 고구려의 대대로는 귀족회의에서 선출됐다. 백제는 왕족인 부여씨와 8개의 귀족 가문이 연합해 정치를 주도했고, 귀족들이 모여 정사를 논의하고 재상을 뽑은 곳이 정사암이다. 화백회의는 만장일치로 주요 안건을 결정했으며, 수상 역할을 했던 상대등이 주재했다.

2-⑤. ㉣의 『일성록』은 규장각 각신(閣臣)들로 하여금 기록케 했다. ㉤의 왕릉 참배는 단순한 행차나 왕권 과시가 아니라 백성을 직접 만나 여론을 듣고 정책에 반영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의 초계문신제도는 신진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제도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