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네트>12.온라인 도서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인터네트에서 가장 큰 온라인 도서관은 사실 인터네트 그 자체다.인터네트야말로 여러가지 형태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이러한 자료에 접근하는 방법은 telnet,FTP gopher등 지금까지 설명한 인터네트 명령어들을 사용하 면 된다.
인터네트의 이용이 활발한 곳중 하나가 도서관이다.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인터네트의 성격이 맞아 그렇겠지만,외국의 경우 많은 도서관들이 인터네트를 이용한 온라인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인터네트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는 도서관 목록및 도서관 관련 정보는 다음의 표에 나와 있는 곳으로 익명 FTP(anonymous FTP)를 이용해 얻을 수 있다. 도서관의 중요성을 역설한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장려에 힘입어 미국의회 도서관(US Library of Congress.LOC)은 국회의원들의 입법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 이외에,소장한 많은 장서를 이용하여 일반 국민들에게도 유용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의회도서관은 의회도서관 온라인 정보 서비스(LOCIS:Library of Congress Online Information Service)란 이름으로 인터네트에도 화려하게 등장했다.이곳에 접속하기 위해 서는 텔네트(telnet)나 고퍼(gopher)를 이용하여 표에 있는 주소로 연결하면 되는데,고퍼를 사용하는 편이 훨씬 편리하다.
상용 서비스로는 콜로라도연구도서관연합(CARL:Colorado Alliance of Research Libraries)에서 제공하는 UNCOVER 데이터베이스가 있다.개인이나 기관(주로 연구소나 대학)가입이 가능한데,이 곳에서는 현재 약 2만여종의(학술)잡지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팩스로 받아볼 수도 있다.이외에도 기존의 상용 데이터베이스인 다이얼로그(dialog.com)BRS(brs.com)ORBIT(orbit.com)다우존스뉴스검색(djnr.dow jones.com)등도 계정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텔네트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우리나라 경우에도 포항공대 등의 대학과 한국통신.전자통신연구소 등의 기관들에서 온라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고 있다.
〈○13「온라인 게임(mud)」은 8月24日字(水) 32面에싣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