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식, Buy ? Sell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상하이종합지수가 6000을 넘어서면서 중국 증시 과열 논란이 뜨겁다. 국내 여러 증권사들은 과열이나 거품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거품이 위험한 수준이라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5일 처음으로 6000포인트를 넘어선 데 이어 16일에도 1.03% 오른 6092.06으로 마감했다. 올 들어 상승률은 127.7%다.

미래에셋증권 이진우 연구원은 16일 “중국과 홍콩 증시의 과열 양상이 본격적인 버블 국면으로의 진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일본 증시를 예로 들었다. 중국과 홍콩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전 세계 증시 평균보다 각각 60.4%, 41.6% 높다. 그런데 1993~94년 일본 증시는 250% 높았다.

한국투자증권 박소연 연구원은 “상하이 주가의 고평가 부담은 분명 존재하지만 강한 이익 신장세를 감안하면 더 오를 수 있다”고 전했다. 굿모닝신한증권의 이선엽 연구원도 “지금은 장세를 인정하고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외국에서 들어오는 소식은 다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중국 주식시장의 버블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1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대표적 비관론자 애널리스트인 ‘닥터 둠(Dr. Doom)’ 마크 파버의 말을 인용, 현재 상하이 증시의 모습이 대공황 직전인 1920년대 미국 주식시장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기업들의 PER이 심각할 정도(69배)로 높다는 것이 그 근거다.

파버는 “20년대에는 경제 상황이 좋다는 확신이 너무 컸기 때문에 증시 거품이 꺼졌을 때 충격도 그만큼 컸다”고 말했다. 그는 “대공황 뒤 뉴욕 증시가 50년대 중반까지 대공황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이 그 예”라고 덧붙였다.

앨런 그린스펀 전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도 중국 증시 거품론을 주장하는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최근 “중국 증시는 상상할 수 있는 최대의 거품을 지니고 있으며, 결국은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준호 기자

◆주가수익비율(PER)=주식의 현 주가를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수치.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며, 기업이 시장에서 평가되는 정도와 주가의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PER이 높으면 회사의 이익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반대일 때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말이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