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북한 사설

정상회담 후속 조치, 과욕 부리지 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남북 정상회담이 끝나자마자 정부가 후속 조치를 쏟아낼 태세다. 노무현 대통령은 “다음 정부와의 관계에서 로드맵을 명료하게 만들어 합의 이행에 혼선이나 흐지부지되는 일이 없도록 정리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범정부적 추진기획단을 총리 산하에 둔다고 밝혔다. 이를 시발로 관련 부처 고위 당국자의 기자회견이 연일 예고돼 있다.

남북 정상 간 합의가 나온 이상 정부가 후속 조치를 강구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이번 합의가 제대로 실행된다면 남북 관계의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도 인정한다. 그러나 이렇게 부산을 떨면서 추진될 일은 아니다. 엄청난 시간이 걸릴 것이 자명한 이번 합의의 성격상 임기가 4개월여 남은 이 정권에서 실질적 진전을 볼 사안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정상회담에 국민의 관심이 저조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 아니겠는가.

정전체제 종식 협의, 서해 북방한계선에 관한 합의 내용은 그야말로 민감한 사안이다. 우리 내부의 공감대 형성은 물론 미·중 등 주요 관련국과의 협조도 필수적이다. 고속도로 개·보수 등 경제 지원에는 얼마만 한 비용이 들어갈지 계산이 안 나올 정도로 막막한 상태다. 상당수 국민은 ‘이번엔 얼마나 쏟아 부어야 하나’하고 탄식하고 있다. 한마디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각기의 합의 내용을 대한민국의 국익에 맞게 조율해 가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해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떤 합의는 북한과 협의 아래 수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마치 차기 정권은 이번 합의에 아무런 변경을 가할 수 없게 못 박아버리겠다는 식으로 나오는 것은 독선일 뿐이다. 또 성과를 과대 포장하려 든다면 그나마 있는 성과마저 훼손시킨다는 점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 노 대통령이 “(합의 이행에)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비용이 얼마만 한 기간에 소요될 것인지 명료하게 매듭짓자”고 밝혔다. 바른 인식이다. 이렇게 하나씩 차분하게 국민적 공감대를 모아 나가는 것이 현 정권의 책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