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협조자와 경쟁자들-빨치산 少壯출신들 후계 지렛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金正日의 大權 街道는 순탄할 것인가.그를 둘러싸고 있는 북한권부 인물 가운데 협력자는 누구이며,경쟁자는 어떤 사람들인가.
지금까지 北韓의 영도핵심.지도핵심등 고위간부들은 金正日 후계체제를 떠받치는 핵심세력이었다.
金正日은 70년대 중반이래「간부배합」정책을 중시해 노년.중년.청년의 배합,빨치산출신.유자녀출신.非유자녀출신의 배합등을 기본틀로 삼아왔다.
당.정무원 부장급이상 핵심인물들의 90%는 金正日후계체제 아래서 승진해온 사람들이고 金日成시대의 인물들은 얼마 남지 않았다. 金正日이 당간부사업을 장악한 이래 영도핵심.지도핵심에 자기 사람들을 배치하기 시작해 78년께 이르면 당중앙위 부장은 말할 것도 없고 당비서.정치국 후보위원까지 독자적으로 추천권을행사했다.그가 아버지와 상의하는 간부대상은 정치국원 정도였다.
北韓의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는 이른바「영도핵심」은 당정치국 위원.후보위원을 비롯,당비서.정무원 상무위원(총리.부총리)들을포함한다.
영도핵심 중에서도「핵심」은 정치국 상무위원들이다.상무위원은 金日成.金正日.吳振宇 3명에 불과하다.그러나 前 北韓고위관리에따르면 이것은 직책상 그런 것이고 실제론 상무위원회 회의에 총리(姜成山).부주석(李鍾玉.朴成哲)도 참가한다.
최종 정책결정권자는 이들 6명인 셈이다.
상무위원회 다음으로는 영도핵심 모두가 참가하는 정치국회의가 중요하다.이 회의에선 대개 국가사업.당사업 전반과 경제현안등이논의되며 영도핵심이라면 누구나 참석한다.다만 군사.대외.대남문제를 논의할 때만은 참석범위를 정치국위원으로 제 한하는 것으로알려져있다.
北韓에서 당쪽이 군을 통제하는게 분명하지만 한편에선 軍 또는軍출신이 金正日 후계체제의 중추핵심을 이룬다는 사실도 짚고 넘어가야할 대목이다.
吳振宇(인민무력부장.국방위원회 부위원장.원수),崔光(정치국 위원.총참모장.국방위원회 부위원장.차수),全文燮(국가검열위원장),白鶴林(당중앙군사위원.사회안전부장.차수),李乙雪(당중앙군사위원.국방위원.차수) 등이 대표주자들이다.
또 金鐵萬(정치국 후보위원.국방위원),李斗益(당중앙군사위원.
차수),金斗南(당중앙군사위원.대장),趙明祿(당중앙군사위원.공군사령관.대장),李夏一(당중앙군사위원.군사부장.국방위원.대장),金益鉉(당중앙군사위원.대장),金江煥(전군사부장.중 장)등도 군계통 중추핵심에 포함시킬수 있다.
이들중 吳振宇.崔光.金鐵萬 3명만 정치국 성원이고 나머지는 공식적인 영도핵심에서 빠져있다.그러나 이들은 사실상 영도핵심들이라는게 前 北韓고위관리의 설명이다.
6차당대회때 정치국원이었다가 80년대 중반이래 정치국에서 빠진 군고위인사들,즉 全文燮.李乙雪등 빨치산 소장층 출신이야말로「드러나지 않은」권력중추로 이들이 바로 金正日의 강력한 후견자들이다. 영도핵심의 아랫단계인「지도핵심」을 보아도 숫자면에서 군대쪽이 절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北韓이「병영국가」라는 진단이 그런 점에서 무리는 아니다.『사단장급(소장)이상의 5백50여명이 모두 지도핵심에 포함된다』는 前 北韓고위관리의 설명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北韓의 핵심요직이 혁명2세대들로 채워지고 있다는 사실에 덧붙여 金日成.金正日의 친인척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최고인민회의의장 楊亨燮의 부인 金信淑(金日成의 사촌동생.86년 사망)이 근로단체출판사 사장에서 민속박물관 관장으로,전 조국평화통일위원장 許錟(91년 사망)의 부인 金貞淑(金日成의 사촌동생)이 직총 부위원장에서 출판사 주필로 각각 자리를 옮기도록 한 예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金正日이 자신의 친인척들을 핵심요직에 속속 기용하는 것이 드러난다.「후계체제의 안전판으로 믿을건 친인척밖에 없다」는 인식을 엿볼수 있다.
金正日이 핵심요직에 기용한 친인척에는 자신의 직계친척과 다소먼 인척들이 포함된다.
직계 친척으로 중용된 대표적인 예는 여동생 부부인 金敬姬(당경공업부장).張成澤(당청소년사업부장)이다.흔히「곁가지」로 불리는 이복동생 金平一(핀란드대사)은 해외에 나가 있지만 다른 친인척들은 국내요직에 포진하고 있다.총리 姜成山은 金日成의 이종사촌(金日成 어머니 康盤石의 언니 아들)이고 부총리 金昌柱와 당중앙위 부장 金鳳柱는 金日成의 사촌형제들(삼촌 金亨祿의 아들)이다.부총리.국가계획위원장 金達玄과 대외경제위원회 부위원장 金正宇는 金日成의 조카뻘이다.당비서 黃長燁은 金日成 고모의 사위다. 평양시 당책임비서 康賢洙,정치국 후보위원 康希源,당역사연구소장 康錫崇,당통일전선부장 康주일등은 金日成의 외척들(康盤石의 인척)이다.
실제로 친인척은 아니지만 그렇게 취급되는 그룹도 있다.金日成밑에서 빨치산 활동을 하다 죽었다는 吳仲洽의 아들 吳克烈(당부장),金赫의 아들 金渙(부총리),6.25때 전사한 군총참모장 姜健의 아들 姜창주(군단장),1930년대 북만주 에서 金日成의생명을 구했다는 화전민의 아들 延亨默(자강도당 책임비서),항일빨치산 출신 全昌哲(직총위원장.조국전선의장 역임,82년사망)의사촌 全河哲(당부장)과 6촌동생 全今哲(조평통 부위원장)등이 그들이다.
이같은 권부 인물 가운데 앞으로 金正日의 권력 정착 과정에서그의 경쟁자가 될 수 있는 부류는 크게 군부의 소장층.친척.경제 테크노크라트등 3개 그룹으로 나눌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비교적 소장층으로 군부 핵심그룹을 이루고 있는 국방위원회 위원 李夏一,인민무력부 부부장 金光鎭(차수),인민무력부 총정치국 부국장 李奉園대장,총참모부 부참모장 전재선(대장)등의 행보가 주목된다.이들이 金正日에 반기를 들면 가장 강력한 저항세력이 될 것으로 보이며,이 경우 북한 정국은 예측할 수 없는소용돌이에 빠지게 될 것이다.
친척의 경우 삼촌인 金英柱부주석,계모 金聖愛 중앙여맹위원장,이복동생 金平一 핀란드대사등 과거 金正日과 권력 암투를 벌였던인물들이 어떻게 나올지 관심거리다.
이들중 金英柱는 지난해 복권했고 金聖愛 역시 지난해부터 내부적으로 활동을 재개한뒤 지난달 카터-金日成 회견에 등장해 관심을 끌었다.金平一은 주로 해외로 돌았으나 군부내에 일부 지지세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관료 그룹에서는 姜成山총리겸 黨정치국원등 경제 테크노크라트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연합할 경우 상당한 세력이 될수 있으며,이들이 군부와 결합하면 집단지도체제도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金正日이 20여년간 다져온 후계체제에 도전한다는 것은 큰 모험일 것이며,이 경우 북한 정국은 엄청난혼란에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政治2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