誤報 언론사 과당경쟁탓-광운대 이창근교수 기자직업의식분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국의 언론인들은 誤報의 첫째 이유로 언론사간 과당경쟁을 꼽은 반면 일본의 언론인들은 기자의 부주의를 지적,최근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는 우리의 언론환경을 반증하고 있다.
광운대의 李昌根교수(신문방송학)가 월간『신문과 방송』6월호에기고한「기자직업의식」논문에 따르면 한국기자들은 응답자의 39.
5%가 오보의 원인으로「매체간의 지나친 경쟁」을 꼽았고 22.
7%가「기자의 부주의」,16.5%가「기자의 전문 성 결여」를 꼽았다. 반면 일본의 기자들은 응답자의 반을 넘는 54.2%가「기자의 부주의」를 꼽았고 22.8%가「기자의 전문성 결여」를,15.2%가「매체간의 지나친 경쟁」을 들어 기자 자신의 문제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李교수의 논문은 지난해 9월과 11월 한국언론연구원과 일본 신문협회연구소가 각각 한국과 일본의 기자 7백27명,1천7백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분석한 내용이다.
언론보도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한.일 두나라 기자가 모두「언론사간의 과당경쟁」(29.3%,34.2%)을 첫째로꼽았고 다음으로「기자의 전문지식과 윤리성결여」(29.3%,31.6%)를 비슷한 비율로 지적했다.
세번째 이유로 한국기자들은「뉴스원의 부실한 정보제공이나 정보제공 거부」(14.1%)를 든 반면 일본기자들은「일반인의 입장을 경시하는 기자의 태도」(22.0%)를 들었다.한편 마감시간등 제작상의 압박도 각각 12.7%,12.6%로 나타났다.
사생활 침해여부로 항의를 받은 경험은 한국기자들(13.5%)에 비해 일본기자들(25.9%)이 두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그러나 일본의 항의경험이 높은 것이 기사의 침해정도가 더 심각해서인지,인권침해에 대한 독자의 반발의식이 더 적극적이어서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취재행위의 정당화와 관련,한국기자의 59%가 상대방에게 자기신분을 속이는 일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한 반면 일본은 6%만이 응답했다.李교수는 이 부분과 관련,『이러한 취재관행은 윤리적 차원에서 자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오랜 군사정권을 거쳐오며 일본에 비해 정보통제와 사회저변의 부조리가 누적돼「취재저항」이 심했던 우리의 언론환경이 사회전반의 개혁과 함께변화한다면 이 부분도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이나 정부 비밀문서를 허가없이 사용하는 행위에 대해 한국기자들은 50%가,일본은 더많은 58%가 가능하다고 응답해 기업이나 관청의「정보통제」에 대해서는 비슷한 비판적 시각을 보였다. 〈勳〉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