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내 기술전문대학 추진/정부 하사관 양성 방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군의 과학화에 따른 각종 첨단장비를 유지·관리하는 중·장기 기술하사관을 양성하기 위해 군내에 기술전문대학을 설립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또 육군공병학교 등 기술학교 출신자와 공군의 조종사·기관사·정비사·관제사 등 소정의 기술교육훈련과정을 마치고 전역한 인력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의 일부 또는 전과목을 면제하는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19일 이같은 내용의 「군의 국가기술인력 육성방안」을 민자당 국가경쟁력 강화특위 통일·외교·안보소위(위원장 박정수의원)에 보고,당정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국방부는 『사회환경 변화로 중·장기 복무자가 감소하고 첨단장비 증가에 비해 정비·운영병력 충원은 매우 저조한 만큼 군내에 기술전문대학을 설립,중·장기 기술하사관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약 5백억원의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기술병력 증강을 위해 현재 사단장 2백50명 이내로 제한된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 응시대상자를 임무수행상 특별한 어려움이 없는한 희망자 전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현행 기능사 1급 등 모두 1백94종의 검정시험 종목도 확대해 항공사진기능사·소방설비기사·자동차 차체수리 기능사 등 각군이 필요한 기술종목을 추가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오는 6∼8일중 각 군의 의견을 수렴하고 9월중 관련부처와 협의를 거쳐 10월중으로 국가기술자격법 개정안을 마련하는 등 기술인력 육성방안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라고 보고했다.<이상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