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건설사 잇따라 부도 … 'PF 주의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이 금융시장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전방위 진화에 나섰다. PF 대출을 많이 쓴 지방 건설사들의 부도가 이어지면서 지방 건설 시행사 부도→시공사 부도→PF 대출채권 부실 발생→금융시장 혼란의 악순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임영록 재정경제부 2차관은 13일 “지방 도시의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해제한 데 이어 해당 지역의 투기지역 해제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지방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통해 PF 대출의 부실을 사전에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12일 금융감독원도 “PF 관련 대출채권의 규모가 크지 않아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다.

 ◆금융 당국 “문제없다”=금감원은 PF 대출 채권 규모를 69조9000억원으로 집계했다. 이 중 저축은행이 보유한 12조5000억원이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연체율만 봐도 저축은행(13%)이 은행(0.19%)보다 훨씬 높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해 총여신 중 PF 대출 비중을 30% 이하로 제한했으며, 연체 기준도 강화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장의 시각은 다르다. 올 들어 지방 건설업체들이 줄줄이 쓰러졌다. 한승건설·신일(브랜드명 해피트리)·세종건설(그랑시아)에 이어 11일엔 ‘미소드림’ 브랜드의 동도도 부도를 냈다.

 ◆앞으로가 더 문제=최근 불거진 대주건설 사태는 PF 부실 우려가 단순한 기우가 아님을 보여준다. 시행사가 부도나자 시공사인 대주건설이 350억원의 빚을 대신 갚아야 했다. 하지만 이처럼 시행사 부도로 시공사가 돈을 대신 갚아야 하는 사태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중견건설사인 P사 관계자는 “연대보증이나 지급보증을 한 시공사마저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을 경우 연쇄 부도 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혼란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현·안장원 기자

 ◆프로젝트 파이낸싱(PF)=석유 개발이나 건설과 같은 대형 사업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수법으로, 금융회사는 회사의 신용이나 담보물의 가치보다는 사업 자체의 경제성을 믿고 자금을 빌려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