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질오염사건 이후 수질감시대책이 전시행정에 그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大邱=金善王기자]낙동강 수질오염사건 이후 행정기관에서는 각종 수질감시대책을 마련했으나 전시행정에 그쳐 환경오염대책이 겉돌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1월부터 낙동강.금호강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 동사무소와 구청직원들을 동원, 하천오염을 감시토록하고 각종 민간단체와 협력하여 지속적인 환경감시운동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또 폐수배출업소의 배출구에는 배출량.오염기준치등을 알리는「환경표지판」을 부착토록 하여 공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시민들도 환경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시는 최근들어 시청 계장급이상 간부공무원을 주요 폐수배출업체 5백76곳을 대상으로 담당제를 신설,연간 두차례씩 기업체를 방문하여 기업주의 환경의식을 일깨우기로 했다.
그러나 시는 낙동강식수원 오염사고가 일어난지 넉달이 지났으나시민.환경단체들과 연결된 조직적인 활동은 커녕 오히려 이들 단체들이 벌이는「지구의 날」등 환경관련 행사 지원을 외면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