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속 성장속 인플레 警報-대도시물가 상승 경제 타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中國 경제가 올해도 두자리 숫자의 쾌속성장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고질적인 인플레 문제가 다시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
중국국가계획위가 발표한 지난 2월 도시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25.9%.이중 北京.武漢.重慶.西安등 비교적 대도시의 물가상승률이 26~39%라는 급격한 상승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6월 중국경제가 과열현상을 보이기 시작할 당시의소비자물가지수와 거의 비슷한 수치.특히 일반서민들의 家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생필품 가격과 공공요금이 크게 올라 문제의심각성을 더하고 있다.곡물류는 지난해 같은 기 간과 비교할 때39.9%,야채류 53.3%,의류는 21%나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평균 2월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전년대비 20%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국가계획위가 지난주 武漢에서 전국물가국장회의를 긴급 소집,물가안정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지만 뾰족한 묘안을 찾지 못한데문제의 심각성이 있다.천진화(陳錦華)국가계획위주임이 주재한 이회의는 생필품과 일부 공공요금및 원자재 가격이 대폭 뛰고 있고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일반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켜 정치적불만으로 연결될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중국정부가 발표한 올해 물가상승률 상한선은 10%.이를 위해곡물류.식용유를 비롯한 생필품과 버스요금등 공공요금등 모두 20개품목에 대해 가격상한제를 지난 2월부터 실시해왔고 물가동향을 감시하는 물가감시국을 국무원 직속기관으로 설 치.운영해 왔다.특히 지난해 高인플레를 유발시킨 고정자산투자.무분별한 은행여신의 엄격한 규제와 통화남발을 억제하는등 사용가능한 모든 행정조치를 취해왔던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같은 안간힘을 다한 억제책에도 불구하고 25%대를 웃도는 高인플레가 재발,당국의 물가정책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4월 들어 廣東省 增城市에서 당국의 토지보상지연에 불만을 품은농민 3천여명의 대규모 시위,大亞灣 惠州에서 당 국의 토지수용에 따른 분규등 농민과 경찰간 충돌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소요의 근본적 배경에는 갈수록 심화되는 지역간 소득격차,물가앙등에 따른 상대적 빈곤감,국유기업종사자와 개인사업자등 계층분화현상등이 저변에 깔려있으며,특히 물가에 대한 불만이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도 과감한 외자유치를 통한 경제발전의 가속화와 안정적 경제 발전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쫓기에는 묘방책이 없어 보인다는 점에서 상당기간 인플레 高熱은 지속될 전망이다.
[北京=文日鉉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