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ESTATE] 상한제 문턱에 걸린 고덕지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서울 지역 주요 저층 재건축 단지들에 분양가 상한제 불똥이 떨어졌다. 10층 이상의 중·고층은 재건축을 하더라도 늘릴 수 있는 가구 수가 많지 않은 반면 5층 이하 저층 단지는 가구 수 증가 폭이 커 일반 분양분이 많다. 상한제 규제를 받으면 일반 분양분의 분양가가 내려가 조합원 부담이 늘어난다.

 지난달 말까지 사업승인을 신청하지 못해 상한제 타격을 받는 저층 재건축 아파트는 10여 곳 2만여 가구다. 서초구 반포본동 주공1단지 1490가구는 2003년 안전진단을 통과하고 추진위 승인을 받은 뒤 제자리 걸음이다. 강동구 고덕지구에서 1단지를 제외한 시영과 2~7단지는 정비구역 지정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구청은 추진위들에서 제출된 7개 단지 구역 지정안을 검토하고 있다.

 강동구 둔촌주공은 7월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고 최근 조합 설립을 위해 동의서 접수에 나섰다. 강서구 화곡동 우신 등 7개 단지 연합 재건축 구역인 화곡3지구는 일찌감치 조합 설립을 했으나 인근 단독 주택지 편입 문제로 시간을 끌었다. 이들 단지의 일반 분양분은 전체 건립 가구 수의 15~30%로 예상된다. 둔촌주공의 일반 분양분은 1743가구로 19%다. 고덕주공 3단지는 임대 255가구를 포함해 1453가구를 짓는 안을 검토 중인데 조합원 수가 800명이다.

상한제로 분양 수입이 5%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일반 분양가는 감정평가한 택지비와 정부가 정한 일정한 건축비로 매겨진다. 정부는 3월 강남권 재건축 단지 109㎡의 분양가가 상한제로 25% 내려갈 것으로 봤다. 재건축 조합 관계자들은 “상한제에 따른 부담금 증가가 얼마가 될지 아직은 불확실하지만 상한제 타격으로 사업이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 단지는 공정 80%에서 분양하는 후분양제를 적용받기 때문에 일반 분양은 2010년 이후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중개업소들은 상한제 규제로 이들 단지의 시세가 더 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본다. 한편 일반 분양분이 적거나 없는 강남구 개포지구 저층단지들과 송파구 가락시영은 상한제 타격을 거의 받지 않을 것 같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