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후 개헌론' 여야 手싸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홍사덕 총무는 25일 기자들에게 "어제 최병렬 대표가 총선 후 개헌론을 얘기한 것은 매우 적절했다"고 말했다. "개헌의 담론은 대한민국을 노무현 대통령이 이대로 끌고 가도록 내버려둘 것인가, 아니면 나라의 위태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그에게 제약을 가할 것인가라는 선택의 문제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자민련과의 공조를 통해 개헌 분위기를 적극 조성할 방침임을 밝혔다.

崔대표는 권력구조를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언급하지 않았지만 한나라당은 분권형 대통령제(국방.외교.통일 등 외치는 대통령이 맡고, 행정 등 내치 분야는 국무총리가 맡는 이원적 권력구조)를 염두에 두고 있다.

한나라당이 이 시점에 개헌론을 꺼낸 것은 총선전략과 무관치 않다. '반노(反盧.반 노무현 대통령)진영'의 결집을 통해 총선구도를 '노무현 대 반노무현 대결'로 이끌고 가겠다는 것이다. 그 주도권을 한나라당이 쥐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의도가 통할지는 미지수다.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의 개헌론을 역으로 활용할 생각이기 때문이다. 盧대통령 측근인 열린우리당의 이강철 영입단장은 이날 "한나라당이 개헌론을 얘기할수록 우리는 선거를 치르기가 더 좋다"고 말했다. "야당의 개헌론은 결국 盧대통령의 권력을 절반쯤 빼앗겠다는 정략으로 비칠 수 있다. 그걸 여론화해 선거구도를 '개혁 대 반개혁의 대결'로 몰고 가면 승산은 우리에게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런 가운데 민주당은 신중한 모습이다. 김영환 대변인은 "崔대표의 개헌론은 뜬금없는 얘기"라며 "지금은 대선자금 청문회를 여는 일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