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예의지국 대한민국 아~ 힘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촌수에 따른 호칭문제를 해결하고 나니 또 하나의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호칭을 붙이는 것이 비단 자신이나 상대를 부를때 외에 타인에게 소개할때, 혹은 대화중 특정한 사람을 일컬을 때도 사용되는데 그때마다 적합한 호칭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 아~ 복잡도 하여라.

[자신에 대한 호칭]

▶ 저·제: 웃어른이나 대중에게 말할 때
▶나: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우리:자기 쪽을 남에게 말할 때
▶아비, 어미:부모로서 자녀에게 말할 때
▶할아비, 할미:조부모로서 손자, 손녀에게 말할 때
▶형, 누이:형이나 누이로서 동생에게 말할 때

[아버지에 대한 호칭]

▶ 아버지:직접 부르거나 대화 중 지칭할 때, 남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일컬 때
▶아버님: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상대방의 아버지를 일컬을 때
▶아비:아버지의 어른에게 아버지를 일컬을 때
▶아빠:말을 배우는 아이(초등 학교 취학 전)에게 그의 아버지를 일컬을 때
▶가친(家親):자기의 아버지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
▶춘부장(椿府丈):상대방의 아버지를 일컫는 한문식 호칭
▶선친(先親), 선고(先考):돌아가신 아버지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

[어머니에 대한 호칭]

▶ 어머니:직접 부르거나 대화 중 지칭할 때, 남에게 자기의 어머니를 일컬 때
▶ 어머님:남편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상대방의 어머니를 일컬을 때
▶ 어미:어머니의 어른에게 어머니를 일컬을 때
▶ 엄마:말을 배우는 아이(초등 학교 취학 전)에게 그의 어머니를 일컬을 때
▶ 자친(慈親):자기의 어머니를 남에게 일컫는 한문식 호칭
▶ 자당(慈堂):상대방의 어머니를 일컫는 한문식 호칭
▶ 현비:지방이나 축문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쓸 때
▶ 대부인(大夫人):상대방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컬을 때

[형제간의 호칭]

▶ 언니: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르는 호칭
▶ 형님: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르는 호칭
▶ 형: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일컬을 때
▶ 백씨(伯氏), 중씨(仲氏), 사형(舍兄):남에게 자기의 형을 일컬을 때
▶ 백씨는 큰형, 중씨는 둘째형, 사형은 셋째 이하의 형

[형제, 자매간의 배우자 호칭]

▶ 아주머니:형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아주미:형의 아내를 집안 어른에게 말할 때
▶형수씨:형의 아내를 남에게 일컬을 때
▶존형수씨:상대방의 형을 일컬을 때
▶제수씨, 수씨: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제수:집안 어른에게 제수를 일컬을 때

[시댁 가족의 호칭]

▶ 아버님, 어머님: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를 때
▶아주버님:남편의 형을 부르거나 일컬을 때
▶형님:남편의 형수나 손위 시누이를 부를 때
▶시숙:남편의 형을 친족이 아닌 남에게 말할 때
▶동서:남에게 손위 동서를 말할 때
▶형:손위 동서보다 어른에게 손위 동서를 말할 때
▶도련님:미혼인 시동생을 말할 때
▶서방님:기혼인 시동생을 말할 때
▶작은 아씨:미혼인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

[처가 가족의 호칭]

▶ 장인 어른, 장모님:아내의 부모를 직접 부를 때
▶처남:처가의 가족에게 아내의 남자 동기를 말할 때
▶처남댁:처남의 아내를 부를 때

[기타 친척의 호칭]

▶ 큰아버지, 큰어머니:아버지의 큰 형님과 그 아내
▶○째 아버지, ○째 어머니:아버지의 큰형이 아닌 남자 동기와 그 아내
▶고모, 고모부:아버지의 누이와 그 남편
▶외숙, 외숙모:어머니의 남자 동기와 그 아내
▶이모, 이모부:어머니의 자매와 그 남편

자료출처 : 다음카페 교육나누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