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연기에 네티즌 "수해피해 심각" "대선흔들기"

중앙일보

입력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평양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10월 2~4일로 연기됐다. 북한은 18일 오전 김양건 북한 통일전선부장 명의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최근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수해 피해로 인한 복구가 시급한 점을 고려해 정상회담을 10월 초로 연기할 것을 제의해왔다.

갑작스런 연기 요청의 배경을 놓고 정치권과 북한 전문가들 뿐 아니라 네티즌 사이에서도 다양한 해석들이 오가고 있다. 조인스닷컴과 주요 포털사이트 게시판 등에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연기를 두고 네티즌의 갑론을박이 뜨겁다.

◇“수해 피해 적극 돕자”=청와대와 통일부 등 관계당국은 "북한의 수해 피해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다른 의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도인 평양은 1967년 '최악의 홍수'보다 많은 폭우가 쏟아졌고 평양시내를 관통하는 대동강 수위도 관측사상 최고를 기록, 일부 지역이 범람하는 등 도시기능이 상당 부분 마비되는 사태를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호석씨는 "미운 사람은 국민이 아니다. 우리 한민족의 이웃사랑정신으로 도와줘야 한다"며 "남의 나라까지 가서 목숨걸고 도와주는데…노인과 아이들 무슨 죄가 있나. 이럴때 않 도와주지 않으면 통일은 더 요원해 진다"고 말했다.

또 네티즌 ‘ejupiter’는 “40년만의 물폭탄이라고 하는데 잘잘못은 나중에 제기하고 일단 물심양면 도와주는 것이 먼저”라며 “단 식량이나 생필품 등 현물지원은 하되 현금지원은 절대 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대선 흔들기 시작됐다”=그러나 대부분의 네티즌은 수해만을 이유로 남북정상회담을 갑자기 연기한 것은 석연치 않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대선을 코앞에 둔 10월에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함으로써 북한이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불순한 의도설'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박병호씨는 “받을 것 다 약속했는데 지는 해를 만나봤자 더 무슨 소득이 있겠나 싶었는데 홍수를 만났으니 그보다 더 좋은 핑계가 어딨겠나”는 냉소적 반응을 보였고 이재성씨는 “김정일 위원장이 대선 판세를 분석해보니 노 대통령이 다음 정권을 이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 남은 임기동안 금전적인 부분을 충원하기 위해 연기한 것 같다”고 말했다.

네티즌 ‘deep55’는 “12월 대선을 두 달 앞두고 하는 정상회담이 대선과 상관없다는 주장은 어느 나라 식 논리인가. 대선 정국에 영향을 미치려는 노림수가 깔려 있다”는 해석을 내놨고 이준호씨는 “북한이 항상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겠다고 했는데 경선 후 단일 후보의 상승세가 본격화될 10월 초를 타깃으로 했다. 주요 정당의 경선 시기와 맞물린 것도 상당부분 의심된다”며 “정황으로 보아 남한 정권 흔들기 차원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일부 네티즌은 남북정상회담을 아예 차기 정권에 넘기라고 주장했다. 네티즌 ‘dreamgo91’은 “남북정삼회담을 하고 싶었다면 최소 퇴임 1~2년 전에 만나는 것이 정상 아닌가. 일종의 쇼 느낌이 난다”며 “참여정부가 지킬 약속도 아닌데 불리한 조약을 고스란히 다음 정권과 국민에게 안겨줄 회담을 왜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