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낙동강수질조사특위 주관 시민 대토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부산시민들은 더이상 인분이 섞인 물을 먹을 수 없습니다.』24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부산시의회 낙동강수질조사특별위원회 주관으로 열린「낙동강을 살리자」시민 대토론회는 제2,제3의 낙동강 오염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낙동강 하류지역만의 방지노력으로는「백년하청」이라는 시민들의 의견이 집약된 확인무 대였다.
이날 토론회는 부산시청 별관 6층에 5백여명의 시민이 자리를꽉채우고도 모자라 서서 토론을 지켜보는등 낙동강 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지대한 관심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토론자로 참석한 학계.부산시관계자.시의원.시민운동단체 대표들의 원인분석.대책 토론이 끝나고 시민들의 질의시간이 되자 기다리고 있었다는듯 여기저기서 질문이 빗발치듯 쏟아졌다.
시민들의 질문내용은 하나같이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낙동강 중.상류지역의 공장폐수.축산폐수를 막지 못하고는아무리 부산.경남지역에서 수질방지에 노력해도「헛수고」라는 것이었다. 50대의 한 시민은 부산시 관계자의『수질개선을 위해 정수약품비 1백억원정도를 늘리고 고도정수시설등 수도관련시설에 앞으로 7백68억원을 투입할 계획』에 대해『또 아까운 돈만 낭비하게 될 것』이라며 냉소했다.
한국부인회 부산지회소속 한 주부는『합성세제가 수질오염 주범(主犯)의 하나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하지만 낙동강 중.상류지역에서 폐수.분뇨를 마구 방류한다는 것을 알고서는 아무리 합성세제 덜쓰기 운동을 벌이더라도「계 란으로 바위치는 격」밖에 안된다』고 안타까운 심정을 나타냈다.
특히 시민들은 낙동강 오염원이 낙동강 상류지역의 공단폐수임이분명해졌는데도 이를 밝혀내지 못한 것은 폐수방류업체들에『당국의법망도 쉽게 피할 수 있다』는 그릇된 인식속에 오히려 오염원 업체들의 간만 키워준 꼴이라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같이 많은 시민들의 의견이 쏟아져 나왔지만 역시 결론은 분명했다.
『물도 제조되는 상품이라는 개념을 가져야 됩니다.』 부산시민들이 낙동강 중.상류지역의 원천적 수질 오염방지를 성토하고 대책을 촉구하는 것은 물이라는 상품은 첫 제조공정에서 잘못이 계속되는 한 나머지 제조공정에 아무리 정성을 쏟는다 해도 불량품생산은 결코 피할 수 없기 때문일듯 싶 다.
[釜山=金寬鍾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