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의해 국악 방송이 없다-시청률 낮다 방송3사서 외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TV와 라디오에서 국악프로가 사라져가고 있다.올해 국악의 해를 맞아 20일 세종문회회관에서 국악 선포식이 열리는등 국악 부흥 움직임이 일고 있지만 방송에서는 여전히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현재 방송3社에서 방송하고 있는 국악프로 는 TV의 경우 KBS-1TV『국악춘추』(화 밤10시)하나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라디오는 KBS-1FM의 『동창이 밝았느냐』(아침5시),『흥겨운 한마당』(낮4시30분),『국악의 향연』(밤12시)과 2라디오의『흥겨운 우리가락』(아 침5시5분),MBC-AM의『좋은 아침 우리가락』(아침5시20분),FM의『우리멋 우리가락』(아침5시)등 AM.FM을 포함해 6개.그러나 이들 프로마저『흥겨운 한마당』을 빼놓고는 모두 심야나 새벽에 편성,모양새만 갖춘 셈이다.
국악프로가 본격적으로 된서리를 맞게된 것은 SBS-TV가 전파를 발사하기 시작,방송3社가 본격적인 시청률 경쟁체제로 돌입한 92년 봄부터다.
MBC는 92년 봄개편때『우리가락 한마당』을 폐지하면서 창사이래 계속 방송되어온 TV국악프로의 맥을 끊어버렸다.MBC의 이같은 움직임에 자극받은 KBS도 곧이어 2개이던 국악프로를 한 프로로 축소시켰다.
이같은 국악프로 축소바람은 라디오에도 불어닥쳐 MBC는 매일방송하던『좋은 아침 우리가락』을 주1회 로 줄였다.SBS는 개국이후 지금까지 TV와 라디오를 통틀어 국악프로를 편성한 적이한번도 없었다.
방송사에서 이처럼 국악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가요나 클래식등다른 음악프로에 비해 시청률이 저조하기 때문.가요프로의 경우 대략 20~30%의 시청률을 쉽게 유지할수 있고 클래식프로도 최소한 10%는 유지할수 있는데 비해 국악은 겨 우 5%를 넘어설 정도다.
그러나 국악관계자들은 국악프로가 아무리 시청률이 낮아도 다른음악프로에 비해 지나치게 박대받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국악춘추』의 연출자인 최공섭PD는『현재 MBC와 SBS는 말할 나위도 없고 공영채널인 KBS-1TV의 경우도 가요프로 4개,클래식프로 2개가 편성돼 있지만 국악프로는 하나밖에 없다』며『학교에서도 국악교육이 제대로 안되고 있는 상 황에서 방송마저 외면하면 국악이 설자리가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국악가요 작곡가이며 KBS-1FM의 국악전문 PD인 채치성씨는『국립국악원 소극장에서 토요일마다 공연되는 토요상설무대의 경우 객석이 꽉 찰 정도로 젊은층의 관심은 대단하다』며 『방송에서 국악쇼와 같은 현대적 감각의 국악프로를 만든다 면 호응이 클 것』이라며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MBC의 국악전문PD 구중회씨는『국악프로는 영화의 스크린 쿼타제와 같은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최소한 한 채널에서 국악프로 하나정도씩은 의무적으로 편성토록 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南再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