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에 뛴다] APEC회의 유치 '지휘' 이익주 부산시 국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2005년 한국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및 경제각료회의를 부산에 유치하기 위한 부산시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외교통상부가 14일부터 개최도시 심사에 착수했기 때문이다.

서울, 부산, 제주 등 3곳이 대대적인 유치활동을 펼치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개최도시 선정위원회(위원 19명)를 열어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자격심사를 한 뒤 현장실사와 설명회 등을 가질 예정이다. 부산 유치운동의 전면에 이익주(李益周.54) 부산시 문화관광국장이 있다.

"APEC 회의 및 경제각료회의를 부산에 유치하려는 것은 동남 경제권의 1천만 주민들의 간절한 염원입니다."

유치운동의 야전 사령관격인 이 국장은 "APEC 회의 유치가 부산시의 올해 최대 현안"이라며 "아.태 경제협력체인 APEC의 취지에 맞도록 동북아 물류 중심인 부산에서 당연히 개최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국장은 지난해 9월 초 APEC 부산유치기획단 구성을 진두 지휘하고 시민.사회단체와 학계 등 대표

2백34명이 참여한 부산유치 범시민추진위와 부산시민단체 대표자협의회 출범에도 기여했다.

또 1백 만 명 유치 시민서명 운동 진척 상황을 수시로 체크하는 등 범시민 유치운동을 꼼꼼히 챙겨왔다.

그는 14일 외교통상부에서 열린 APEC 개최도시 선정위원회에 참석해 부산 개최의 당위성을 조목조목 제시했다.

그는 "열한 번 열린 APEC회의 중 여덟 번이 지방에서 개최됐고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를 지향하는 시책과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정과제를 실현하는 차원에서 부산이 개최지로 선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선정위원회에서 설명을 마치고 돌아온 이 국장은 "서울.제주에 비해 회의장.숙박시설.교통망 등의 여건이 좋고 동남경제권의 중심인 부산에서 개최가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차별화전략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며 유치 가능성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동남경제권은 조선.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이 많고 해운대.경주지역 등 관광 문화자원이 풍부해 APEC회의가 국가경제와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에 기업을 유치하는데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국장은 "부산 유치가 성사되면 북한을 옵서버로 초청, 한반도 및 아.태 지역 평화 정 착을 위한 '부산선언'을 채택해 역사적인 '평화회의'로 기록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경관이 아름다운 해운대 동백섬 해안 1천 평에 지상 2층, 지하 1층 규모의 전통 건물을 지어 정상회의장과 선언문 발표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국장은 "대선비리 수사와 총선 일정에 밀려 APEC회의 개최 장소 결정이 늦어질까 걱정"이라며 " 늦어도 다음달 안에 개최장소가 결정돼야 알찬 행사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허상천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bksong@joongang.co.kr>

***유치효과는

부산시는 APEC 정상회의 및 경제각료회의를 유치하면 세계도시 부산의 파워 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있다. 정치.사회적으로 국제 도시의 위상을 높일수 있고 경제적 이익을 안겨 주기 때문이다.

APEC은 세계 GDP(국민총생산)의 약 62%,교역량의 50%를 점유하는 최대의 지역협력체. 미국.중국.일본.러시아.캐나다.호주.싱가포르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21개 회원국이 모여 정부간 회의와 민간 부문 회의, 무역박람회 등 행사를 연다.

회의에는 연인원 1만5천여명이 참가하고 정상회담이 열리는 도시에는 1만 여명이 방문한다.

경제적 효과는 더 크다. 부산발전연구원이 분석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2천3백69억원, 소득유발효과 5백22억원 등 3천억원. 음식점과 숙박비 3백90억원, 운수.보관료 3백25억원,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2백78억 원 등의 생산유발효과를 예상했다. 4천8백92명의 취업유발 효과도 기대된다.

간접 효과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관련한 생산유발효과 6조4천여억원과 소득유발효과 1조3천6백74억원 규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