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부, 9천여명 대상 가족 가치관 조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한국의 부부 세 쌍 중 한 쌍은 부부 간에 해결할 수 없는 심한 갈등이 있을 경우 이혼하겠다는 뜻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혼 남녀의 절반 정도는 결혼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미혼 남녀의 70% 정도는 두명의 자녀가 이상적이라고 응답해 세계 최저 수준인 출산율이 회복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여성개발원이 여성부의 용역을 받아 지난해 9~11월 전국의 3천5백가구 9천1백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가족 가치관과 가족 관계 등에 대한 대규모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르면 부부 간에 심한 갈등이 있는 경우라도 이혼에 반대한다는 부부가 42.7%로 가장 높았으나 이혼에 찬성하는 부부도 33.5%나 됐다. 나머지는 불확실하다고 응답했다. 이혼을 반대한 이유는 '자식 때문에'가 46.7%로 가장 높아 여전히 자녀에 대한 책임과 의무가 이혼을 막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계속 바람을 피울 경우 열 쌍의 부부 중 여덟 쌍이 이혼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면 배우자 외의 사람과 성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한 남성은 응답자의 22.8%, 여성은 13.3%여서 외도가 이혼의 주요 사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혼 남녀 중 결혼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남(55.5%).여(49%) 모두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남자의 경우 41%가 경제적 이유를 꼽은 반면 여성의 경우 ▶결혼할 필요를 느끼지 않아(31.7%)▶일에 열중하기 위해(28.6%)▶ 결혼이 부담스러워(14%) 등 현행 결혼제도와 결혼 문화에 대해 저항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와 같이 사는 가족의 경우는 시부모와 거주하는 비율(11.6%)이 장인.장모와 같이 사는 경우(1.7%)보다 훨씬 높아 '장모시대'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가족 시대의 부모 부양 문제는 부부 간.형제 간의 갈등 요인이 됐다. 시부모를 모시는 문제로 부부 또는 형제 간에 갈등을 빚은 경우가 각각 다섯 가족 중 한 가족꼴이었다. 특히 노환을 앓는 부모가 있는 가족의 경우 부모를 모시는 문제로 ▶형제 간 갈등 경험 37.9%▶부부 간 갈등 경험 35.6%▶부부 및 형제 간 갈등 함께 경험 34.5%으로 일반 응답자에 비해 훨씬 높았다.

문경란 여성전문기자.이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