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취약한 영업환경 타개 안간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지난 67년 대구·부산은행이 생긴 이래 각 직할시와 도마다 하나씩 10개의 지방은행이 지방경제의 활성화를 외치며 영업하고 있지만 아직 여러 면에서 취약한 실정이다.
지방은행의 어려운 상황은 지난해 l0개 지방은행 중 6개나 업무이익이 줄어들었으며 평균 0.3%의 이익증가(14개 시중은행은 36.6% 증가)에 그친 것으로 증명된다. 주된 고객인 지방중소기업의 경기가 부진한데다 1만개가 넘는 사상 최대규모의 중소기업이 쓰러짐에 따라 부실여신이 크게 늘었다. (표참조).
올 들어서도 상반기 중 지방은행의 업무이익 증가율은 8∼9%로 시중은행과 비슷한데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9.2%로 시중은행의 절반수준에 그쳤다.
지방은행은 금융자금의 서울집중현상을 막고 지역의 예금으로 지방산업을 육성하자는 취지아래 설립됐는데 영업하는데 제약이 많다고 호소한다.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의무대출비율이 80%로 시중은행(45%)보다 훨씬 높아 가계자금을 대출해주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요즘과 같이 은행들이 가계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경쟁하는데 제약이 많다는 것이다.
지방은행들은 현재 서울에 3개 지점 등 작년말 현재 평균 58개의 지점, 23개꼴의 출장소를 갖고 있다. 은행당 점포수로 볼 때 6대 시중은행(지점 2백개, 출장소 80여개)의 4분의1 수준이며, 점포당 예금과 대출금은 시중은행의 절반수준이다.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영역싸움도 뜨겁다. 지방은행은 『지역발전을 위해 지방관청의 예금은 지방은행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법원의 공탁금은 조흥은행, 서울·부산시금고는 상업은행, 도금고는 제일은행이 독점하다시피 취급하고 있는데 지방은행들이 이를 「찾아가자는 것」이지만 시중은행이 내놓지 않고 있다.
지방은행들은 금융계의 현안인 금융규제완화, 2단계 금리자유화, 업무영역 조정, 금융기관의 합병 등과 같은 문제가 지방은행 단독으로는 대처하기 벅찬 상황에서 은행을 대표하는 이익단체인 전국은행연합회에 시중은행은 모두 참여하는데 반해 지방은행은 간사은행만 참여토록 돼있어 지방은행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제시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지방은행들은 시중은행 못지 않게 새 상품개발과 전산망확충·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개선에도 열심이다.
대구은행은 시중은행 중 제일은행에서만 하고 있는 데빗카드를 개발해 고객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는데 대구지역에서 상당한 인기다. 데빗카드는 고객이 온라인현금카드를 갖고 백화점등에 가서 물건을 사는 즉시 고객의 은행계좌에서 상품구입대금이 자동으로 지급되는 것이다.
광주은행은 이 데빗카드 기능에 공중전화카드 기능도 주고 컬러사진·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은 메모리칩을 넣은 IC카드를 국내 처음으로 오는 9월 선보일 예정이다. <양재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