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한방] 마른기침 자주할 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겨울철만 되면 기침 때문에 잠을 설치는 사람들이 많다. 한방에선 이런 만성적인 기침을 해수병이라 했다. 하지만 해수는 기침과 가래가 모두 있는 것을 말하고, 기침만 나고 가래가 없는 것을 해(咳), 가래만 있는 것을 수(嗽)라고 한다.

해수는 크게 외감(外感)과 내감(內感)으로 분류한다. 외감 해수는 감기에 걸려 생기는 급성기관지염처럼 병균이 폐에 침입해 발생하는 기침이다. 외부 감염이란 뜻이다. 반면 내감 해수는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결핵.폐렴 등 내부 장기가 상해 생기는 기침을 말한다. 오장육부가 건강하지 못해 병을 기르는 것이다.

겨울철엔 외감과 내감 해수 모두 심해진다. 외감 해수를 예방하려면 춥거나 습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해야 한다. 피부는 폐를 주관하므로 피부가 한기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내감 해수의 대표적인 질환은 풍수 또는 노수라는 기침이다. 주로 과로나 과도한 성생활 등으로 몸 안의 기가 허해 폐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병한다. 따라서 겨울에는 규칙적인 생활과 절제있는 행동을 통해 해수가 악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가장 속을 썩이는 기침은 아무래도 건해(乾咳)라고 하는 마른기침이다. 음허화동(陰虛火動)이라고 하여 음이 허해 진액이 부족하고 허열만 위로 솟구치면 마른기침을 수시로 한다.

이때는 기관지 점막에 윤활유가 흐르게 하고, 허열을 내려 폐의 음기가 부족한 것을 치료하는 보폐원탕 또는 보폐환 등이 효과적이다. 여기에 대추.은행.호두.생강.밤 등 다섯가지 과일인 오과다(五果茶)를 함께 먹으면 겨울철 해수병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대추 7알, 은행 15알, 호두 7개, 겉만 씻은 생강 3통, 겉껍질만 깐 밤 7개 등을 물 5백㏄와 함께 한 시간 정도 달여 수시로 마신다. 은행과 호두는 기관지 점막을 보호해 주며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 이 밖에 추나요법으로 기침이나 폐.기관지와 연관된 흉추 1~3번을 교정해 준다.

길경이라고 하는 백도라지나 인삼.오미자.살구씨.배 등도 기침에 좋은 약재다. 단, 인삼은 폐가 약해 생긴 오래된 기침에는 좋지만 감기 초기나 열이 있는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만성적인 기침은 체력을 많이 소모해 몸을 쇠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오랜 기간의 기침으로 기력이 많이 떨어졌을 때는 치료약 복용 후 체력과 원기를 올려주는 보약을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신준식 자생한방병원장 (www.jase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