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댐 백서/안기부에 있다/「평화의 댐」 관련 핵심자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감사원서 제출요구 방침/대북 시위용 건설 서둘러/성금 안쓰면 오해 생길까 우려도/당시 안기부 2차장 이학봉씨 공개
86년 당시 당국이 발표한 북한의 수공위협이 사실이었는지를 규명하는데 핵심자료가 될 「금강산댐 백서」가 현재 안기부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은 조만간 이 자료와 금강산댐 유역을 촬영한 항공사진(미국 제공) 등의 제출을 안기부측에 요구할 예정이며 안기부도 자료요청에 적극 협조할 방침이다.<관계기사 3면>
금강산댐 위력을 판단하는 작업에는 국내 토목·수리학 전문가 10여명이 참가했지만 작업 자체가 안기부 주도로 이루어져 「작업의 순수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당시 정부가 평화의 댐 건설을 서두른 것은 북한 수공에 대비한다는 기술·전술적 목적과 함께 대북 시위용 의도도 있었다는 증언이 나와 『수공을 막기 위해선 빨리 대응댐을 건설해야한다』는 당시 정부주장이 설득력을 상실하고 있다.
86년 당시 안기부 2차장이었던 이학봉씨는 16일 밤 중앙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금강산댐 백서」 존재사실을 밝히면서 『안기부 관계부서 주관아래 토목·수리학 전문가 10여명이 안기부 청사내에서 금강산댐의 위치·규모·수량 등을 분석하는 작업을 했다』고 밝혔다.
이씨는 『88올림픽에 대한 북한의 테러위협이 심각해 우리측은 성금을 모으고 댐건설을 서둘러 북측에 뭔가 의지를 보일 필요가 있었으며 이런 상황이 댐건설 결정에 주요하게 고려됐다』고 말했다.
이씨는 『북한이 댐건설에 착공했으니 언제 만들어도 만들것이며 일단 모인 성금을 사용하지 않으면 오해가 생길것 같다는 생각도 있었다』고 덧붙여 적어도 정부가 「당장 댐을 만들지 않으면 북한의 물이 서울을 덮친다」는 위급상황 판단은 가지고 있지 않았음을 암시했다.
이규효 당시 건설장관도 『금강산댐의 원래 목적은 수력발전용이었지만 북측의 테러위협이 워낙 강해 「댐을 무너뜨리거나 댐이 사고로 무너지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했다』고 밝혀 정부의 상황판단·댐건설추진이 무리였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다목적 댐으로 전용
정부는 평화의 댐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등을 공급하는 다목적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건설부는 17일 평화의 댐을 다목적댐으로 전환키위해 1단계 댐에 설치된 4개의 배수터널에 물의 방류를 막을 수 있는 갑문을 설치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