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손학규·정동영 서로 "나도 한몫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대다수 범여권 대선 주자는 일제히 남북 정상회담 합의를 환영했다. 한나라당 이명박.박근혜 후보에게 집중된 대선 판에 새로운 핵폭탄 급이슈가 터져 국면 전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이해찬 전 국무총리,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등은 정상회담 성사에 나름대로 기여했다는 주장을 폈다. 그러면서도 대선을 4개월여 앞둔 상황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부각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3월 북한을 방문했던 열린우리당의 이 전 총리는 "이번 회담을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체제가 수립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이어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마련되기까지 남북 간 대화와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기여한 것에 대해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와 함께 방북했던 이화영 의원은 "이 전 총리가 사실상의 대통령 특사 역할을 했으며,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만나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했다"고 말했다.

민주신당의 손 전 지사는 "이번 회담을 계기로 남북 지도자들이 한반도의 평화와 미래를 위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5월 평양 방문 때 2차 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통일부 장관 출신의 정동영(민주신당) 전 의장은 "남북 정상이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북.미 수교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회담이 될 것을 기대한다"며 "정치권도 여야를 떠나 남북 정상회담이 성공할 수 있도록 초당적으로 지원하는 대승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2005년 6월 자신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 면담 사실을 부각하면서 "국민의 정부에 이어 참여정부에서도 남북 정상회담의 정례화 토대가 만들어졌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조순형 의원은 "나는 생각을 달리 하며 시기와 형식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국제사회에서는 정상 간 상호 방문이 관례인데 우리 대통령이 두 번씩 평양에 가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임기가 6개월밖에 남지 않은 대통령이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정상회담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김정욱 기자

남북 정상회담 관련 정치권 말말말

▶"정상회담은 2007년 3~4월이 적기다."-2006년 12월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지금은 정상회담을 논의할 단계도 아니고, 논의하고 있지도 않다."-2007년 1월 24일, 이재정 통일부 장관

▶"남북 정상회담이 연내 성사될 가능성이 70~80% 된다."-2월 15일 김대중 전 대통령

▶"(이해찬 전 총리의 방북은)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것. 정상회담 추진은 재집권에 이용하려는 것"-3월 6일 한나라당 유기준 대변인

▶"정상회담은 최소한 4월은 넘겨야 가능"-3월 10일 이해찬 전 총리

▶"노 대통령에겐 남북 정상회담보다 BDA 문제 해결이 우선순위"-3월 28일 이호철 국정상황실장

▶"남북 정상회담을 하게 돼도 북한에 돈이나 물질적인 것을 주는 형태로는 안 할 것"-4월 4일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

▶"남북 정상회담, 올 하반기 이전에 열려야"-5월 15일 김대중 전 대통령

▶"남북 정상이 올 8월 15일 제주도에서 만날 것을 제안한다."-6월 7일 열린우리당 정세균 의장

▶"8월에 정전협정을 체결했던 판문점에서 남.북.미.중 4자 정상회담을 열자고 노무현 대통령에게 건의했고, 관련국에도 제안했다"-7월 3일 이해찬 전 총리

☞ [이슈토론방] 범여권 '3대 리그', 결국 대통합 될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